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진료의뢰서가 없이 진료, 현지조사 제출명령 위반으로 업무정지처분했지만 법원이 처분취소

by dha826 2017. 8. 28.
반응형

(진료의뢰서)

 

업무정지처분 취소

1심 원고 승(소송 종결)

 

피고 보건복지부는 원고 병원에 대해 현지조사한 결과 ▲관계서류 제출명령 위반 ▲업무정지 기간 중 의료급여 진료 ▲의료급여 절차를 위반해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한 경우 비용총액을 100/100으로 수급자가 부담해야 하지만 의료급여비용으로 청구를 적발했다.

 

또 ▲의료급여 절차를 위반한 경우 원외처방에 따른 약제비를 수급자가 전액 본인 부담하도록 처방해야 함에도 의료급여로 표기해 약국이 약제비를 청구하게 한 부분 등을 적발했다.

 

이에 피고는 의료급여법에 의거, 원고에 대해 1년 의료급여기관 업무정지처분을 했다.

 

원고 주장

관계법령상 물리치료대장이라는 제목과 양식을 사용해 물리치료 결과를 기재하라는 규정이 없다.

 

뿐만 아니라 원고는 별도의 물리치료대장을 작성한 바 없이 물리치료를 실시한 후 진료기록부의 'Treatment Record' 부분에 사선(/)으로 그 실시 여부를 기록해 그 부분이 포함된 진료기록부를 이미 제출했으므로 자료제출명령을 위반한 적이 없다.

 

재활치료가 필요한 자가 재활의학과에서 의료급여를 받는 경우에는 제1차 의료기관의 진료의뢰서가 없이도 제2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 원고 병원은 신경외과 전문의가 상근하는 병원으로서 재활의학과 의원이라 할 수 있으므로, 진료의뢰서가 없는 환자들에 대해 의료급여를 하고 그 비용을 청구했다 하더라도 부당청구라고 볼 수 없다.

 

법원 판단

원고가 물리치료대장을 작성, 보관하지 않았다고 해서 이를 위법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설령 원고가 법적으로 작성 및 보관할 의무가 있는 서류를 작성하거나 보관하지 않았다면 그와 같은 내용을 구성요건으로 하는 관련 조항에 따라 조치해야 할 것이지 이 사건 제출명령위반으로 조치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원고는 진료의뢰서가 없는 환자들을 상대로 재활의학과가 아닌 정형외과에서 의료급여를 한 사실이 있다. 

 

원고의 이사장 김00은 현지조사 당시 의료급여의 절차를 위반해 부당하게 의료급여비용을 청구한 사실을 시인하고 확인서를 작성한 사실을 각 인정할 수 있다.

 

이는 의료급여법 소정의 요건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원고의 주장은 이유 없다.

 

따라서 피고가 처분의 근거로 내세운 사유 중 제출명령위반의 점이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앞서 본 바와 같이 나머지 사유가 인정된다 하더라도 이 사건 처분은 부당하다.

 

판례번호: 1심 3763번(2010구합37**)

판결문 받으실 분은 댓글 또는 비밀댓글에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