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기관절개관 교체에 실패한 직후 청색적, 심정지가 발생해 사망한 사건

by dha826 2017. 9. 30.
반응형

기관절개관 교체에 실패한 직후 청색적, 심정지가 발생해 사망한 사건으로, 기관절개관 교체 과정의 과실이 있는지 여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환자는 호흡곤란 증세로 피고 대학병원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폐렴으로 진단하고, 기관내 삽관과 인공호흡을 시행하며 항생제를 투여했고, 18일 후 기관내 삽관 대신 기관절개술을 시행했다.

 

8일 후 피고 병원 내과 인턴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의 기관절개관 교체를 시도했으나 실패해 산소포화도가 71%로 떨어졌다.

 

담당 의사는 1분 후 청색증, 심정지가 나타나자 인공호흡을 시행하고, 에피네프린, 아트로핀을 투여했다.

 

하지만 상태가 더 악화돼 심폐소생술을 한 뒤 기관내 삽관을 한 결과 맥박이 회복됐지만 의식을 회복하지 못했고 며칠 뒤 사망했다.

 

1심 법원의 판단

피고 병원 의료진은 기관절개관 교체를 신속히 하고, 교체가 잘 이뤄지지 않는 경우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해 피부기관공을 겸자 같은 기구로 유지하는 등 기도를 확보하고 인공호흡을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주의를 게을리해 기관절개관 교체를 지연했다.

 

또 기관내 삽관이 이뤄질 때까지 약 8분 동안 기도를 확보하는 등의 확실한 방법으로 저산소증을 예방하지 못한 과실이 있고,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한 원인이 되었다고 할 것이다.

 

2심 법원의 판단

기관절개관 교체는 특별한 의학적 기술이나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아 일반적으로 수련의, 전공의가 담당한다.

 

이 사건 당시 피고 병원 수련의가 기관절개관 교체를 시행한 것은 규범적 의료행위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최초 교체 시도가 실패했다고 해서 이를 진료상 과실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기관절개관 교체 과정에서 갑작스럽게 청색증, 심정지가 나타날 것을 예상할 수 있을 만한 사정이 있었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다. 

 

이와 함께 의료진이 미숙한 술기로 인해 약 8분 동안 기관절개관 교체와 기관내 삽관에 연달아 실패해 기도 확보를 지체했다고 볼 수 없다.

 

그렇다면 원고들의 청구는 모두 이유 없어 기각한다.

 

판례번호: 11348(2013가합**), 2052891(2015**)

판결문 받으실 분은 댓글 또는 비밀댓글에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