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4월 10일 2019년 흡연자들의 흡연행태 변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신종전자담배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흡연자들의 흡연행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담배사용 유형별로 흡연자들의 생체지표(니코틴, 코티닌, OH-코티닌, NNAL)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것이다.
설문조사는 만 19세 이상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담배사용 유형별로 구분하여 총 3,004명을 모집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담배 사용 유형이란 단독(궐련,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각각 단독 사용), 이중 사용(궐련+궐련형 전자담배, 궐련+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액상형 전자담배), 삼중 사용(궐련+궐련형 전자담배+액상형 전자담배) 등을 의미한다.
먼저 2019년 월~4월 1차 설문조사 후 5개월 뒤인 지난해 9월 779명을 대상으로 담배사용 유형 변화를 재조사했다.

그 결과 1차 조사 때보다 2차 조사 때 궐련 또는 전자담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371명에서 223명으로 감소하는데, 궐련 단독 사용자의 약 28%는 궐련과 전자담배를 혼용하는 신종전자담배 흡연행태로 전환하였다.
특히 궐련,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를 함께 혼용하는 삼중 사용자는 1차 조사 때 146명에서 311명으로 약 2배 증가하였다.
니코틴의존도 설문지를 이용해 흡연으로 인한 니코틴 의존도를 조사한 결과, 궐련(3.5±2.1점), 궐련형 전자담배(3.2±1.8점), 액상형 전자담배(2.9±1.8점) 단독 사용자 간 니코틴 의존도는 차이가 없었다. 액상형 전자담배 10회 흡입을 일반담배 1개비로 추정하여 적용.
설문조사 응답자 중 832명을 대상으로 흡연으로 인한 니코틴, 발암물질 노출을 대변하는 소변 내 생체지표를 측정한 결과, 담배사용 모든 유형의 코티닌 등 생체지표 농도의 수준이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코티닌(중앙값, ng/mL)은 비흡연자 0.9, 궐련 729.5, 궐련형 전자담배 765.5, 궐련+궐련형 전자담배 676.7, 궐련+액상형 전자담배 886.2, 삼중 사용 916.7 등이었다.
이와 함께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 사용자의 니코틴, 코티닌, OH-코티닌 등 생체지표의 농도는 궐련 단독 사용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궐련을 포함하는 이중, 삼중 사용자는 발암물질(NNK) 노출지표인 NNAL을 포함한 니코틴, 코티닌, OH-코티닌 등 생체지표 수준이 궐련 단독 사용자와 차이가 나지 않았다.
궐련 단독(중앙값)은 코티닌 729.5 ng/mL, OH-코티닌 2227 ng/mL, NNAL 32.0 pg/mL이었고, 삼중 사용중앙값)은 코티닌 916.7 ng/mL, OH-코티닌 2701 ng/mL, NNAL 33.7 pg/mL이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궐련이든, 궐련형 전자담배든, 액상형 전자담배든 몸에 안좋기는 매 한가지다.
용어설명
니코틴 (nicotine): 가지과 식물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 흡연의 습관성을 만드는 주된 중독성이 있어 흡연에 대한 특이도가 높다. 담배 및 담배 연기의 주요 성분으로 체내에 들어가면 혈류에 의해 빠르게 퍼진다.
코티닌 (cotinine): 체내에서 대사될 때 생성되는 주요 대사산물로 체내에서 안정적이라 흡연 또는 담배연기 노출 평가 시 주요 생체지표로 활용된다.
하이드록시코티닌(OH-cotinine): 코티닌이 체내에서 대사될 때 생성되는 주요 대사산물로 코티닌과 함께 니코틴 대사율 평가에 활용되는 생체지표다.
NNK와 그 대사산물: NNK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담배 및 담배연기에서 발견되는 담배 특이니트로사민(tobacco-specific N-nitrosamines, TSNA) 중 하나로 1군 발암물질로 지정됐다.
NNAL(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l): NNK물질이 체내에서 대사될 때 생성되는 주요 대사산물로 흡연 또는 담배연기 노출 평가 시 주요 생체지표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