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손상126

산모가 유의해야 할 소아 뇌성마비 소아 뇌성마비 예방 방법과 산부인과 의사 주의의무 초산부인 K 씨는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아왔는데 산모, 태아 모두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 임신 39주 3일째 되던 날 진통을 느껴 산전진찰을 받아오던 E 산부인과에 내원해 분만 준비에 들어갔다. 분만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태아 심박동이 분당 90~100회로 감소하기도 했지만 바로 회복되었고, 순조롭게 분만했다. 그런데 신생아는 출생 직후 울음을 하지 않았고, 근육이 이완되어 있었으며, 진단 태변 착색을 보였다. 그러자 의료진은 인공호흡과 함께 앰부배깅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등 응급조치를 취했다. 이후 신생아는 약하게 자가호흡을 시작했고, 근육 긴장도가 다소 좋아졌지만 여전히 울음이 없었다. 의료진은 신생아를 상급병원으로 전원 했지만 안타깝게도 저산소성.. 2024. 3. 26.
뇌출혈 진단, 수술, 응급상황과 의사 의무 뇌출혈 진료 의사의 주의의무, 의료사고 정황 환자가 뇌출혈 진단을 받았다면 이를 진료하는 의사는 어떤 점을 이행해야 할 의료상 주의의무가 있을까? 우선 신속하게 뇌출혈이 발생한 부위를 특정하기 위해 뇌혈관조영술과 같은 진단 검사를 신속하게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기 수술을 해야 할 것이다. 만약 병원의 사정 상 진단 또는 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상급병원으로 전원 조치해 치료 지연으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 수술 과정에서 출혈이나 장기, 신경 등을 손상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술 후에는 환자에게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지 주의 깊게 경과 관찰하고,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관련 검사와 처치를 해야 할 의료상 주의의무가 있다. 이와 함께 뇌출혈로 진단된 경우.. 2023. 12. 17.
뇌동맥류 수술 후 뇌출혈, 뇌경색…의사 과실은? 뇌동맥류 수술 후 뇌출혈, 뇌경색 발생했다면 뇌동맥이 꽈리처럼 부풀어 올라 뇌출혈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 뇌동맥류이다. 뇌동맥류 진단은 뇌혈관 CT 촬영, 뇌자기공명혈관촬영(MRA), 뇌혈관조영술 등이 있으며, 치료 방법은 개두술과 동맥류 결찰술, 코일색전술 등이 있다. 뇌동맥류 수술 중 혈관 조작 과정에서 자칫 뇌경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뇌를 과도하게 견인하면 뇌부종이나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두엽이 손상되면 마비, 언어 장애, 의식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 사안은 뇌동맥류 진단에 따라 결찰수술을 한 뒤 뇌출혈, 뇌경색, 수두증이 발생해 결국 뇌손상으로 인한 사지마비가 되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사례다. 뇌동맥류 수술 후 부작용 발생 경위 A는 구토.. 2023. 8. 25.
신생아 뇌손상 발생했다면 따져볼 점 분만 후 신생아 뇌손상 의료분쟁 쟁점은? 아래 사례는 분만 직후 신생아가 자발호흡이 없자 기도삽관을 한 뒤 상급병원으로 전원 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분만을 하기 전에 의료진이 산모와 태아에 대한 경과 관찰을 잘했는지, 조기에 분만을 유도해야 할 상황은 아니었는지, 신생아에게 기도삽관 한 뒤 환기가 잘되고 있는지 확인했는지, 분만에 앞서 설명의무를 성실히 이행했는지 등을 따져볼 수 있다. 신생아 뇌손상 사건 원고는 임신 40주 6일째인 2월 18일 양막파수가 발생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고, 의료진은 전자 태아 감시장치(NST)를 사용해 태아 심장박동 수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했다. 의료진은 2월 19일 자연 진통이 없자 태아심박동 수를 모니터링하면서 유도분만을 시행해 오후 2.. 2023. 6. 12.
섬유종 수술 후 혈압 저하…출혈 부위 지혈 지연 과실 수술 부위에 발생한 출혈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혈과 동시에 출혈이 발생하는 부위에 대한 지혈조치가 필요하다. 지혈방법은 출혈 부위에 대한 압박 지혈, 혈관조영술을 통한 색전술, 수술 부위 재개방 후 출혈이 발생한 혈관을 찾아 결찰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사례는 섬유종 수술 후 혈압이 상승하지 않아 수혈 등의 조치를 취하다가 뒤늦게 혈관조영술을 실시해 수술 부위 혈종을 확인하고 색전술을 시행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섬유종 수술 후 쇼크로 뇌손상 발생 사건 원고는 양쪽 어깨뼈(견갑골) 부위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일을 많이 한 날에는 통증이 심해 잠을 이룰 수 없자 피고가 운영하는 G병원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방사선 촬영 및 초음파 검사를 거쳐 양성 종양인 탄성 섬유종으로.. 2023.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