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정지71

대동맥류 인조혈관수술 후 심장 등 이상증상 대동맥류는 대동맥 혈관이 노화되거나 찌꺼기가 쌓여 정상보다 1.5배 이상 넓어지는 것으로 갑자기 파열될 수 있어 ‘몸속의 시한폭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동맥류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은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를 인조혈관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특히 의료진은 수술 과정에서는 심장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술 후에는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지 세심하게 경과 관찰해 응급상황이 신속하게 대처해야 할 의무가 있다.  대동맥류 수술 후 심정지 발생K 병원은 A에게 흉복부 대동맥류를 확인했다. 이에 A에게 대동맥류로 인해 혈관이 파열될 경우 급사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흉복부 대동맥을 인공혈관으로 치환하는 수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수술 동의를 받았다. K 병원은 22일 오전 10시 25분부터 오후 7시.. 2024. 7. 17.
급성심근경색 혈전용해제과 스텐트 치료 심근경색은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 벽에 찌꺼기가 쌓여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생기는 질병이다. 심근경색 치료는 막힌 심장 혈관을 개통시켜 주는 것인데 대표적인 방법이 혈전을 녹이는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과 풍선이나 금속 망 기구를 이용한 풍선확장술, 스텐트 삽입술과 같은 관상동맥중재술이다.  급성 심근경색 증상과 치료C는 1월 2일 오후 5시 흉통이 발생했고, 오후 6시 8분 119 구급대를 통해 의식이 명료한 상태로 K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흉통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면 기본적으로 심전도검사, 일반혈액검사, 일반화학검사, 혈액응고검사, 심근효소검사, 흉부 엑스레이 검사를 시행한다. 환자에 대한 심전도검사 결과 ST 분절 상승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심장근육으로 가야 할 혈액이 .. 2024. 7. 12.
고령, 고혈압 있다면 내시경검사 전 주의할 점 내시경검사 과정 응급상황 발생 사례 P는 9월 14일 F 내과의원에서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던 중 대장천공이 발생해 곧바로 G 병원으로 이송되어 복강경으로 봉합하는 수술을 받았고, 수술 직후 급성 합병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자 퇴원했다. P는 9월 19일 좌측 사타구니(서혜부)에서 장폐색을 동반한 탈장이 발생했다. 장폐색은 장기 특히 소장이 완전히 막혀 음식물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그런데 9월 23일에는 사타구니 부위 탈장이 재발한데 이어 장폐색, 흡인성 폐렴, 심정지 등으로 악화되어 심폐소생술을 받고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지만 안타깝게도 며칠 뒤 사망하고 말았다. G 병원이 작성한 사망진단서에는 대장 천공에 의한 복막염, 복막염에 의한 복압 증가로 인한 장 유착 및 탈장, 이로 인한 장폐색, 흡.. 2024. 3. 29.
뇌출혈 진단, 수술, 응급상황과 의사 의무 뇌출혈 진료 의사의 주의의무, 의료사고 정황 환자가 뇌출혈 진단을 받았다면 이를 진료하는 의사는 어떤 점을 이행해야 할 의료상 주의의무가 있을까? 우선 신속하게 뇌출혈이 발생한 부위를 특정하기 위해 뇌혈관조영술과 같은 진단 검사를 신속하게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기 수술을 해야 할 것이다. 만약 병원의 사정 상 진단 또는 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상급병원으로 전원 조치해 치료 지연으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 수술 과정에서 출혈이나 장기, 신경 등을 손상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술 후에는 환자에게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지 주의 깊게 경과 관찰하고,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관련 검사와 처치를 해야 할 의료상 주의의무가 있다. 이와 함께 뇌출혈로 진단된 경우.. 2023. 12. 17.
급성 심근경색 의심 증상과 의사의 책무 급성 심근경색과 심근효소 수치 K는 12월 8일 길에서 넘어진 뒤 편마비 증상을 보여 오후 10시 40분 C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이 뇌졸중을 염두에 두고 치료하면서 2번의 심전도 검사와 2번의 심근효소 검사를 실시했다. 혈액검사 결과 심근효소 수치가 크게 증가했다. 8일 오후 11시 11분 심근효소 수치는 CK(IU/I) 수치 313(참고치 50~200), CK-MB(U/I) 수치 46(참고치 0~24), 미오글로빈(ng/ml) 수치 78.93(참고치 25~72)이었다. 그런데 다음 날인 9일 오전 4시 45분 검사에서는 CK 1056, CK-MB 52, 미오글로빈 1048로 크게 상승했다. 그런데 K는 9일 오전 7시 48분 심정지가 발생해 안타깝게도 사망했다. 유가족의 손해배상 소송 제기 .. 2023.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