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항생제117

복통, 구토, 발열 있다면 담낭염 의심 급성 담낭염(Cholecystitis)은 담즙에 세균이 침입해 담낭(쓸개)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급성 담낭염은 대표적으로 담석으로 인해 발생한다. 급성 담낭염 증상은 오른쪽 위 복부에 통증이 발생하고, 발열, 메스꺼움(오심), 구토 등을 동반할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담낭염을 적절한 시점에 치료하지 않으면 복막염이나 패혈증 같은 합병증이 발생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담낭염 증상과 치료환자는 고열과 복부 통증, 구토 증상으로 E 병원에 내원했다가 높은 염증 수치, 혈소판 감소 및 백혈구 증가 등이 확인되자 간농양이 의심된다는 소견에 따라 S 병원으로 전원 되었다.   S 병원 의료진은 신체 검진 결과 오른쪽 상복부의 동통과 압통, 반발통이 있고, 혈액검사 결.. 2024. 7. 10.
췌장염 증상과 수술 후 복통, 복막염 췌장염 치료방법과 수술 후 증상, 의료사고 대응 췌장염은 상복부 통증, 구역질, 체온 상승, 혈압 저하,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데 혈액검사, 복부 CT 검사를 하면 췌장 부위에 염증을 확인할 수 있다. 췌장염 치료는 금식과 수액 투여,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생제 투여 등을 한 뒤 경과 관찰을 하면서 담즙 정체성이 회복되는지 확인하게 된다. 경과 관찰 과정에서 담낭에서 담석이 확인되면 담낭절제수술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해 췌장염의 원인이 담석에 의한 급성 담낭염인 경우 담낭절제술로 원인을 제거하지 않으면 급성 췌장염, 급성 담낭염, 급성 담관염 등을 재발할 위험이 높아진다. 급성 췌장염의 경우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의 췌장효소 수치가 정상화된 후 담낭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방법이다.. 2024. 1. 15.
심내막염 증상, 진단 및 치료 심내막염 증상과 진단, 치료 방법 감염성 심내막염은 심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는데, 발열과 오한, 심부전, 전신 통증을 동반한다. 감염성 심내막염의 주요 진단 방법은 혈액배양검사와 심장초음파검사가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되면 보통 6주, 최소 4주 이상 장기간에 걸친 정맥 내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또 혈액배양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균이 의심될 경우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열이 있다고 해서 처음부터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과잉검사가 될 수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에 의해 심장 판막에 심한 손상이 생겨 폐쇄 부전증이나 심부전 증상이 심해질 경우,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 또는 우종에 의해 반복적으로 혈전증이 발생하는 경우 .. 2024. 1. 8.
인대재건수술 후 감염, 고름, 괴사 항생제 치료 인대재건수술 부작용 진단 및 처치 발목 인대가 찢어져 인대재건수술을 받은 뒤 10여 일 후에도 혈액순환 장애, 감염으로 인한 심하게 붓는 부종, 상처 구멍으로 혈액이 흘러나오는 삼출, 관절 운동 제한 증상이 있다면 의사는 어떻게 해야 심각한 합병증 내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을까? 만약 의사가 인대재건수술 후 환자에게 위와 같은 증상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검사와 처치를 소홀히 해 치료시기를 놓치면 피부가 괴사 되는 등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창상이 있으면 괴사 된 조직을 제거하고 세척을 한 뒤 드레싱과 감염에 대한 항생제를 투여한다. 창상 치유에 관여하는 전신적 요인으로는 고령, 영양, 외상, 대사성 질환, 면역 억제, 흡연, 약제 등이 있고, 국소적인 요인으로는 손상, 감염.. 2024. 1. 7.
항생제 중단 후 설사 등 대장염 증상 있다면 위막성 대장염 증상과 의사의 진단 및 치료 의무 위막성(거짓막) 대장염은 항생제를 투여하던 중 또는 항생제 투여 후 1~4주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갑작스러운 설사, 발열이 시작되는데 항생제를 투여하는 중 또는 항생제를 투여한 후 설사, 발열, 산통이나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위막성 대장염을 의심할 수 있다. 위막성 대장염이 심각하면 장 천공에 의한 복막염과 패혈성 쇼크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위막성 대장염 의심 환자에 대한 의사의 진단 의무 위막성 대장염이 의심되면 의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위막성 대장염은 메트로니다졸 또는 경구용 반코마이신 치료에 잘 반응한다. 반면 다른 항생제는 장내 다른 정상 세균총을 더욱 억제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2023.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