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출혈124

고혈압성 뇌병증 후 대동맥 박리 출혈 대동맥 박리는 대동맥 혈관 내막이 찢어져 대동맥이 터지기 직전의 상태를 말하며 급사 위험이 높다. 대동맥 박리의 가장 주된 원인은 고혈압이며, 대표적인 증상은 심한 흉통이다.   혈압 조절 안 되다가 대동맥 박리 진단K는 15일 오전 11시 말이 어눌해지고, 의식이 떨어지는 증상으로 D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D 병원은 오후 1시 35분 생리식염수에 혈관확장제 비니카핀을 섞어 정맥 주입했다.   환자는 오후 3시 20분 혈압이 221/100mmHg로 측정되어 혈관확장제 주입 속도를 시간당 15cc로 변경했다.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이며,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159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 90~99mmHg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 2024. 8. 2.
간경화 증상과 식도정맥류, 출혈 합병증 간경화(간경변증)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 출혈 위험성이 높고, 헤모글로빈 수치가 7g/dl 이하일 경우에만 수혈을 제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출혈이 발생한 간질환 환자에게 별다른 제한 없이 수혈하면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간기능이 악화되어 신기능도 함께 저하되거나 잔존 간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다재내성균 감염증이 발생하는 것 역시 그 자체도로 다발성 장기부전 발생 가능성 및 사망률이 높다.  간경변증으로 간성혼수, 식도정맥류 발생 사건J는 14일 맥주를 1잔 마시고 잠이 들었는데 다음 날인 6월 15일부터 배, 허리, 옆구리 통증이 발생했다. J는 18일까지 통증이 지속되고, 황달에 발열까지 동반되자 21일 K 병원에 내원했다.  환자는 21일 오전 7시 병원 응급실에서.. 2024. 7. 26.
치핵 치질 어떨 때 수술해야 할까? 치질 증상과 종류, 치료 방법, 후유증K는 병원에서 대변 잠혈 반응 검사를 받은 결과 출혈 소견이 있었다.  직장 출혈이나 위장 궤양, 암 등이 있으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극히 소량의 출혈이 배변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이를 확인하는 검사가 잠혈 반응 검사이다.  그러자 K는 P 외과에서 치질 진단을 받았으며, E 병원 내과 진료에서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6.9g/dl로 나와 빈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헤모글로빈 정상수치는 성인 남성이 13~17g/dl, 여성이 12~15g/dl이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수치 아래로 떨어지면 빈혈이라고 한다.   K는 배변을 할 때 항문 출혈을 호소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K는 병원에서 작은 카메라가 부착된 항문경으로 괄약근 안쪽을 살핀 결과 내치핵과 외치핵을 동반한.. 2024. 5. 13.
지방흡입술 후회 안 하려면 반드시 확인할 점 지방흡입수술 부작용 사례와 의사, 병원 선택방법 A는 C 의원에서 두 차례에 걸쳐 복부, 허벅지 지방흡입술을 받았다. 그런데 두 차례 지방흡입시술을 받은 뒤 허벅지, 엉덩이 아래 불규칙성, 함몰, 유착증, 전반적인 피부 처짐 등이 발생했다.  또 복부 부위가 전반적으로 불규칙적이고, 일부에 함몰, 유착증, 피부 늘어짐이 관찰되었으며, 팔 부분은 지방이 과도하게 흡입되어 불균형이 보이고 피부 늘어짐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러자 A는 C 의원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했다. 이에 대해 법원은 C 의원이 과다하게 지방흡입 등을 하는 바람에 부작용이 발생했으며, 설명의무를 위반했다며 2,810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지방흡입수술 방법지방흡입수술은 몸 안에 축적된 지방을 제거해 체형을 교정하는 수술이다... 2024. 5. 8.
뇌동정맥 기형 환자가 주의해야 할 뇌출혈 뇌동정맥 기형 합병증과 수술 부작용뇌동정맥 기형(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동맥과 정맥 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정맥으로 직접 이행하는 혈관기형이다. 동맥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정맥으로 혈류가 바로 전해져 뇌출혈의 원인이 된다.  뇌동정맥기형의 합병증으로는 간질 발작과 뇌출혈이 대표적이다. 뇌출혈은 그 정도에 따라 사망에서부터 의식 불명, 반신 마비, 언어장애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뇌동정맥 기형은 주로 뇌 CT나 MRI 촬영을 통해 진단한다. 그런데 뇌동정맥 기형의 크기가 작고, 병변 주위에 출혈, 부종 등이 없으면 MRI 상으로 쉽게 발견되지 않을 수는 있다.  이후 기형의 유입동맥과 유출동맥을 확인하고, 병소의 크기와 부위를.. 2024.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