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손상126 미숙아 고칼륨 혈증에 인슐린 과다 투여 뇌손상 일반적으로 미숙아의 경우 중증 저혈당증이 지속하고, 재발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신경학적 결손과 관련된 영구적인 뇌손상이 남을 위험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아래 사례는 미숙아에게 고칼륨 혈증 소견이 나타나자 포도당과 인슐린을 혼합해 투여한 후 뇌손상이 악화된 사안이다. 인슐린 과다 투여해 미숙아 뇌손상 악화 A 씨는 2월 11일 재태 기간 27주째에 체중 900kg의 신생아 B를 C병원에서 출산했다. 그러자 의료진은 신생아 B를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시켜 폐쇄형 보육기 incubator에서 치료했다. 그런데 2월 19일 신생아의 혈중칼륨수치가 7.4mEq/L까지 상승해 고칼륨 혈증 소견을 보였다. 혈중 정상 칼륨수치는 3~6mEq/L이며, 이를 초과하면 고칼륨혈증으로 진단한다. C병원 소아청소년과.. 2023. 6. 3. 신생아 뇌병증 원인 '패혈증'…의사 과실 기준은? 병원에서 태어난 신생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빈호흡 대부분은 가벼운 산소 치료로 회복되고 시간이 지나면 호전된다. 다만 이런 호흡수 증가에 따른 빈호흡에 대해 산소를 공급해도 증상이 계속되고, 체온이 38도 이상의 고열 증상을 보인다면 의료진은 패혈증을 의심해 신속하게 대처해야 뇌병증 등 심각한 장애를 막을 수 있다. 신생아 패혈증 증상과 치료 미생물에 감염되어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이다. 또는 36도 이하로 내려가는 저체온증, 호흡수가 분당 24회 이상으로 증가하는 빈호흡, 분당 90회 이상의 심박수(빈맥), 혈액검사 상 백혈구 수의 증가 혹은 현저한 감소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이를 전신성 염증 반응 .. 2023. 5. 2. 당뇨병성 케톤산증, 대사성 산증 치료 의사의 책무 당뇨병 환자가 평소 혈당 조절을 잘 하지 못해 당화혈색소가 정상수치를 크게 웃돌고, 동맥혈가스분석검사에서 대사성 산증이 악화되었다면 의료진은 응급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의 조치를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 만약 당뇨병의 혈당수치가 상승하고 그로 인해 케톤산증이 악화된 경우 신속하게 인슐린과 수분을 투여해 상태가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제1형 당뇨병 환자가 고혈당으로 입원해 인슐린 투여 등을 했지만 당뇨병성 케톤산증, 대사성 산증이 악화되어 심정지로 인한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당뇨병환자 뇌손상 사건 원고 A는 10여 년 전 제1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type 1) 진단을 받았다. 그런데 10월 1일 발열, 복통 및 속쓰림 증상이 발생하자 피고 병원 .. 2023. 4. 19. 심경부감염 수술 마취 후 뇌손상과 길항제 로큐로니움은 근이완 작용을 일으키는 마취약제이며, 투여 후 약제의 효능이 지속되어 자발호흡이 어려워지고 기관내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이 완료될 때까지 환자의 호흡 보조가 어려울 수 있어 저산소증 위험성이 있다. 여기에다 기관내삽관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의료진으로서는 로큐로니움 투여 후 호흡곤란 상태에 빠질 것을 염두에 두고 근이완 길항제를 미리 구비해 환자에게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즉시 브리디온과 같은 근이완 길항제를 투여해야 한다. 아래 예시는 심경부 감염으로 인한 염증을 제거하기 위한 배농술에 앞서 마취유도를 하는 과정에서 서맥 증상이 발생하자 기관절개술을 실시한 뒤 수술을 끝냈지만 환자에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수술 마취 후 호흡곤란으로 저산소성 뇌손상 발생 사례 A는 목의 통증, 호흡곤란 등.. 2023. 2. 18. 뇌수막종 수술후 통증 조치 안해 뇌손상, 뇌부종 터키안 결절 뇌수막종 뇌수막종의 일종인데 종양이 시신경과 시신경교차부에 인접해 있어 초기에는 시력 감퇴가 나타나고, 그 뒤 종양이 성장하면서 후각장애, 제2뇌신경마비, 뇌하수체 결핍과 두통, 정신장애까지 발생할 수 있다. 터키안 결절 수막종의 유일한 치료방법은 수술을 통해 적출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양이 두개강 내 깊숙이 위치하고, 시신경과 내경동맥 유착이 심하면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허혈성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래 사례는 터키안 결절 수막종 진단 아래 수술을 한 뒤 허혈성 뇌손상과 뇌부종이 발생해 환자가 사망에 이른 안타까운 사안이다. 뇌수막종 수술 후 뇌손상, 뇌부종 사례 A는 왼쪽 눈의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증상으로 라식수술을 했지만 그 뒤에서 같은 증상이 계속되자 MRI 검사를 .. 2023. 2. 15. 이전 1 2 3 4 5 ··· 2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