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상선결절4 갑상선 결절, 암, 낭종 진단검사, 수술 대상 갑상선 결절 검사방법과 환자가 알아야 할 점 갑상선 결절은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데 나이가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높고,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갑상선학회에 따르면 갑상선암 고위험군은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가족 중에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거나, 갑상선 결절이 딱딱하게 만져지거나, 결절의 크기가 빠르게 커지거나, 쉰 목소리를 동반할 경우 등이다. 갑상선 검사 방법 갑상선 초음파 검사는 방사선 피폭 없는 매우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로서 갑상선암 고위험군은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병원에서 1cm 이상의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우선 혈액검사인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해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성 결절인 경우 갑상선암 가능성이 낮다.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으면서 촉진되는 비기능성 고형 결.. 2024. 4. 22. 환자가 알아야 할 갑상선암, 결절, 수술 및 합병증 갑상선 결절과 암, 수술 및 환자 유의할 점 갑상선 결절(덩어리, 뭉침)은 무증상이 대부분이고, 임상적으로 갑상선암인 경우가 전체 갑상선결절 환자의 7~15%에서 나타난다.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가족 중 갑상선암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이 있거나 갑상선결절이 딱딱하게 만져지거나, 결절의 크기가 빠르게 커지거나, 쉰 목소리를 동반하는 경우 갑상선암일 가능성이 높다. 대한갑상선학회에 따르면 병원에서 1cm 이상 크기의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우선 혈액검사인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한다. 흔히 물혹으로 알려진 단순 낭성 갑상선 결절인 경우 암일 가능성이 1% 미만으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지는 않는다. 다만 낭성 결절의 크기가 커서 기도를 압박하거나, 목의 이물감을 유발하거나, 피부와 가까이 위치해.. 2024. 1. 22. 갑상선 결절 치료 방법, 부작용, 의료사고 대응 갑상선 결절 치료 방법과 합병증 양성 갑상선 결절은 선종과 종양처럼 만져지는 유사 병변으로 나눌 수 있다. 갑상선 양성 종양 치료는 갑상선의 기능 유무에 좌우되며 기능항진증이 있는 결절은 대부분 수술을 해야 한다. 기능이 정상인 양성 갑상선 결절은 악화되거나 치료하지 않을 경우 결절이 계속 성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절이 식도나 기관을 압박할 수 있다. 경부(목) 불쾌감, 미용 상 문제가 발생하고, 드물지만 악성으로 변할 수도 있다. 갑상선 결절 절제술로 인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반회후두 신경, 상후두신경 마비,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다. 갑상선 결절 절제술의 다른 합병증으로는 출혈, 감염, 장액종, 켈로이드 형성 등이 있다. 영구적인 반회후두신경 마비는 숙달된 외과의사의 경우.. 2023. 11. 12. 갑상선암 수술 후 손발 저림 증상 있다면 갑상선암 수술 의사의 책무와 부갑상선 기능 장애 갑상선암 수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 과정에서 다른 조직을 절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일례로 수술 중 부갑상선을 손상하면 부갑상선 기능 저하로 인해 칼슘 저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 갑상선암 수술 후 환자에게 이상 증상이 발생한 경우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해 부작용 내지 후유증이 발생하거나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주의의무도 있다. 이와 함께 수술을 하기 전 다양한 수술 방법과 각각의 치료 방법의 장점과 후유증 내지 부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해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 여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갑상선암 진단에 따라 수술을 한 뒤 부갑상선 기능.. 2023. 10.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