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관상동맥성형술2

진료기록 허위작성, 급성심근경색 오진 판단기준 급성심근경색 증상 급성심근경색은 동맥이 혈전 등으로 막혀 심장근육 조직이 괴사되는 현상이다. 전형적인 증상은 심한 흉통이며, 협심증보다 통증이 더 심하고 지속기간이 길다. 호흡곤란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아래 사례는 식도염 의심 진단을 한 직후 심정지가 발생해 검사한 결과 급성심근경색으로 확인돼 관상동맥성형술을 시행하려고 했지만 사망에 이른 사안이다. 식도염 환자 급성심근경색 발생 사건 환자는 4월 8일 오전부터 목이 타는 것 같은 통증이 발생해 피고 E병원에 내원했다. 내원 당시 활력징후는 혈압이 112/74mmHg, 맥박 82회/분, 호흡수 16회/분, 체온 36도로 정상이었다. 피고 병원 수련의 F는 응급실 내진실에서 환자를 문진했고, 응급의학과 전공의 1년차 G도 환자의 증상에 대해 물어보.. 2023. 3. 22.
목뼈골절수술 후 관상동맥 협착, 부종 적극 조치하지 않은 과실 경추전방유합술의 합병증으로 연부조직 부종에 의한 기도폐쇄가 발생했지만 스텐트 시술이나 관상동맥성형술 등의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아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한 사건. 의사의 주의의무 위반과 설명의무 위반이 쟁점이 된 사안.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조수석에 타고 가다가 차량이 전복되는 교통사고를 당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도착했다. 검사 결과 척수압박을 동반한 경추 5-6번 탈구, 경추 4번 극돌기 골절을 동반한 경추 4-5번 왼쪽 판, 좌측 귓불 열상, 턱 열상 진단을 받았지만 의식은 명료했다. 의료진은 오전 7시 경추 골절에 대해 경추전방유합술을 했고, 환자는 같은 날 오후 8시 30분 경 경한 호흡곤란, 흉부와 목 밑 불편감을 호소했다. 이에 의료진은 검사결과를 토대.. 2018.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