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맥경화3

동맥경화 스텐트 시술 후 통증 등 증상과 처치 죽상동맥경화증 치료 의사의 주의의무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에 지방이 들어붙어 동맥이 좁아지고 탄력이 감소하는 질환으로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협심증, 심장마비와 같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죽상동맥경화 진단을 받으면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항응고제인 헤파린과 와파린을 투여하면서 항응고 치료를 하고, 통상 혈관조영술과 함께 혈관 확장을 위해 스텐트를 통과시키는 혈관중재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죽상동맥경화증 치료를 위해 혈관중재술을 시행한 뒤 허리나 배의 통증, 복부 팽만 등을 호소하거나 심한 경우 의식을 잃거나 심정지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런 부작용 내지 후유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시술 이전, 시술 과정, 시술 후 주의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해야 한다. 다음은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해 .. 2023. 12. 10.
혈관협착, 동맥경화 치료 안하고 척추수술한 뒤 뇌경색 척추관협착증 등에 인공디스크수술 등 시행 원고는 7일 요통, 근력저하로 인한 파행 등을 이유로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척추관협착증, 전방전위증, 추간판탈출증 등으로 진단하고, 요추(허리등뼈) 3-4번 추간판치환술(인공디스크), 요추 5번-천추 1번에 융합술(케이지 삽입)을 시행했다. 또 다시 후방접근을 해 요추 4-5번에 융합술을, 요추 5번-천추 1번에 후방기기고정술을 시행했다. 척추수술 후 뇌경색 소견 원고는 같은 날 오후 6시 30분 회복실로 옮겨졌는데 의료진은 15분 뒤 원고가 자발적인 의사표현을 하지 못하고 좌측 상하지 근력이 저하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바로 뇌CT 검사를 시행한 결과 뇌경색 소견이 관찰되었다. 원고는 같은 날 E병원으로 전원 되었지만 현재 뇌경색으로 인한.. 2022. 2. 13.
혈전, 혈전색전증 치료 의료분쟁 좌심방 혈전, 다리 혈전색전증 치료과정에서 환자 사망 이번 사건은 협심증을 가진 환자가 좌심방 혈전, 양쪽다리 혈전색전증으로 두 병원에서 진단 및 수술을 한 뒤 사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의 증상을 척추 문제로 진단한 점, 좌심방 점액종 및 양쪽다리 동맥경화증으로 수술한 점 등이 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심부전, 협심증 등으로 여러 의료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약물치료를 받아왔는데요. 1. 피고 M병원에서의 진료 경위 환자는 오른쪽 발등 감각이상, 요통, 오른쪽 발목 통증 등으로 피고 병원 신경외과에 내원했습니다. 그러자 신경외과 의료진은 MRI 검사를 거쳐 요추(허리뼈) 염좌 소견에 대해 설명했고, 당시 환자는 의료진에게 오른쪽 발등 감각이상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말했습니다.. 2021.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