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멍울2 유방암 의심 멍울 증상 있다면 유의할 점 유방암 증상과 진단검사, 환자가 알아야 할 점 유방암은 유방에 발생한 암세포로 이루어진 덩어리(종괴)다. 유방에서 덩어리가 만져지면 악성 여부를 감별해야 한다. 유방암은 유방 안에만 있는 양성종양일 수도 있고, 혈류와 림프관을 따라 전신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유방암 초기에는 무증상이지만 통증 없이 멍울이 만져지거나 유두 함몰, 유두 분비물 발생, 피부 함몰, 겨드랑이 종괴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유방에서 관찰된 종괴가 양성종양인지, 악성종양 최종 판단하기 위해서는 조직검사를 해야 한다. 유방 초음파 검사, 유방 촬영술 등의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종괴가 확인되면 조직검사를 통해 악성 여부를 구별하게 된다. BI-RADS 평가 기준 미국 영상의학 전문의학회(ACR)는 유방의 영상의학적 검사 소견에 대한 판독 .. 2024. 2. 15. 유방 멍울이 만져지고 종괴가 발견됐지만 악성종양 확인을 위한 조직검사를 안해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지연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자 의원에서 맘모그램과 유방초음파 검사에서 종괴가 관찰돼 악성종양 가능성을 설명하고, 확진을 위한 조직검사를 하지 않아 유방암의 진단 및 치료의 적기를 놓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파기환송 사건의 개요 원고는 유방에 멍울이 만져지자 피고 의원을 방문했다. 피고 의원의 진료기록부에는 ‘촉진: 좌측 유방 및 겨드랑이에서 덩이가 만져짐, X선 유방촬영술(맘모그램): 석회 침착을 동반한 결절 음영, 유방 초음파: 섬유선종>악성종양, 좌측 겨드랑이에서 잘 분화된 저 에코 음영의 종괴: 지방종>섬유선종’ 등으로 기재돼 있다. 피고는 원고에게 조직검사를 해 악성종양인지 여부에 대한 확실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는 취지의 설명을 하지 않았다. 이에 원고는 병원을 방문.. 2019. 2.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