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목관절3 발목관절 염좌 불안정성과 인대 파열 수술 과실 아래 사례는 족관절(발목관절) 인대 염좌로 쉽게 발목을 삐는 환자가 수술을 하고, 인대가 재파열해 재수술을 했지만 불안정성 증상이 지속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사가 잘못된 수술방법을 선택했는지, 수술과정에서 과실이 있었는지, 설명의무를 위반했는지 여부다. 발목 인대 재파열과 수술방법 의료분쟁 원고는 왼쪽 발목에서 통증이 있자 피고 대학병원에 내원해 발목 전방견인 검사 등을 받았다. 그 결과 양쪽 족관절(발목관절) 불안정성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족관절 불안정성이란 발목 주위 인대가 끊어지거나 손상을 받는 염좌로 인해 쉽게 접질려서 불안정하면서 통증과 부종이 동반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에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좌측 족관절에 대해 변형 브로스트롬 수술(좌측 부위 1차 수술)을 받고 퇴원했다. 피고 병원.. 2023. 5. 7. 무지외반증과 족지간신경증으로 슬와신경차단술 후 발목관절 및 족지관절 근력 저하 무지외반증 및 족지간신경증 진단 아래 족지골 교정절골술을 시행하기에 앞서 슬와신경차단술을 하는 과정에서 신경을 손상해 비골신경 및 후 경골신경의 부분적 손상을 야기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우측 무지외반증 및 2번째 족지간신경증 진단을 받았다. 무지외반증 엄지 발가락의 제1중족 발가락 관절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이 두번째 발가락 쪽으로 과도하게 휘고 엄지발가락과 관절을 이루는 중족골은 반대로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원고는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족지골 교정절골술을 받았는데 수술 통증을 없애기 위해 슬와신경차단술을 먼저 받았다. 슬와신경차단술 무릎 내측 부분인 슬와부에서 신경을 확인한 후 그 주변.. 2019. 5. 9. 인대재건술 후 부종 등이 발생했지만 항생제만 처방하다 하지절단 발목관절 종아리 부위와 발을 연결시켜주는 정강뼈(경골, tibia)와 종아리뼈(비골, fibula)의 먼쪽끝과 목말뼈(거골, talus)로 이루어진 관절이다. 윤활관절(synovial joint) 중에서 경첩관절(hinge joint)에 해당하며, 이 발목관절을 통해 정강뼈에서 목말뼈로 체중이 실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발목관절 인대재건술 이후 부종, 삼출, 관절운동 제한 등이 발생했지만 항생제만 처방하다 정강이뼈 원위부 하지절단.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패, 대법원 파기환송,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족관절부 및 발바닥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했고, 의료진은 족관절 발안정증, 족관절 내측 충돌증후군, 족저 근막염 등으로 진단.. 2019. 1.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