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시6 눈밑 지방제거수술 후 출혈, 복시 등 부작용 대처 눈밑 지방 제거 수술 집도의 주의의무 눈밑 지방 제거 수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 후 복시 등의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술 과정에서 하직근 등을 손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의무가 있다. 또 수술 과정에서 지혈이 되었는지 확인해야 하며, 수술 전 환자에게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내지 부작용을 충분하게 설명해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안은 눈밑 지방 제거 수술을 한 뒤 복시 증상이 발생한 데 이어 혈종이 관찰되어 수술을 받았지만 복시 등의 장해 판정을 받은 사례다 눈밑 지방 제거 수술 후 장해 발생 사건 A는 1월 12일 D 의원에서 눈밑 지방 제거 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직후 양쪽 눈 밑에 부기와 멍이 관찰되었고, 오른쪽 결막에 부종과 출혈이 .. 2024. 1. 3. 축농증 수술 후 복시, 사시 등 시력 이상 발생 축농증 수술 집도의의 주의의무 부비동염(축농증) 수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 과정에서 출혈, 감염, 통증, 시력 상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할 의무가 있다. 또한 수술에 앞서 수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내지 합병증을 설명해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축농증 수술 과정에서 안와판을 손상해 재수술을 받았지만 두 눈에 복시, 왼 쪽 눈 사시가 발생한 사안이다. 축농증 수술 과정 부작용 발생 원고는 D병원에 입원해 이비인후과 전문의로부터 전신 마취를 한 뒤 내시경을 이용해 양쪽 부비동염(축농증) 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도중 좌측 안와판(lamina papyracea, 눈이 들어가는 자리)이 손상되어 좌측 외사시(양쪽 눈의 시선이 동일한 목표를 향하지 않.. 2023. 6. 28. 익상편수술 후 사시, 복시, 석회화 의사는 수술을 하기 이전에 환자에게 수술의 장점과 단점, 다양한 수술방법, 수술로 인한 후유증과 위험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 여부를 스스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번 사건은 익상편수술 후 사시, 복시, 공막의 연화 등의 후유증이 발생했고, 설명의무 위반 여부를 다툰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C병원에서 양쪽 눈의 익상편 제거수술을 받았는데요. 익상편이란 결막의 퇴행성 변화로 보통 눈의 안쪽 결막으로부터 시작해 혈관이 풍부한 섬유조직이 결막과 각막의 경계 부위를 넘어 각막의 중심부를 향해 삼각형 모양으로 자라는 것을 말합니다. 환자는 수술 직후부터 통증과 눈부심 증상을 호소했고, C병원의 지시에 따라 치료를 계속 받았습니.. 2020. 9. 11. 급성결막염 진단했지만 증식성 망막박리로 실명한 오진사건 안과에서 급성결막염으로 진단했지만 백내장, 일차유리체증식증으로 인한 증식성 망막박리로 실명.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기초사실 원고는 충혈, 햇빛에 눈을 찡그리는 증상 등을 보이자 피고 안과의원에 내원했고, 의료진으로부터 상세불명의 급성결막염으로 진단하고 안약을 처방 받았다. 피고 안과의원 의사는 9일 뒤 원고의 왼쪽 눈을 검사한 후 결막염이 완치되었다고 하였지만 원고는 동일한 증상이 계속되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선천성 혹은 이차적 백내장과 포도막염이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에 왼쪽 눈의 안저검사를 하려 하였으나 수정체가 혼탁하여 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원고에게 2차례에 걸쳐 진정제(수면제)를 투여한 후 안구 초음파검사(B-scan)를 시도하였으나, 원고가 깨.. 2017. 11. 24. 각막 열상 및 전방출혈 환자 수술후 영구실명 (망막 박리)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원고는 철사로 된 머리띠를 가지고 놀다가 머리띠 끝 부분이 튕기면서 우측 눈을 찔러 출혈이 발생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내원 당시 원고는 우측 눈 각막 부분에 열상이 관찰되고, 열상 부분으로 홍채의 일부분이 탈출되었으며, 각막과 홍채 사이의 방수 누출로 인해 전방 깊이가 얇아졌고, 출혈로 인해 수정체, 유리체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를 보였다. 이에 피고 병원 수련의 3년차인 한○○는 원고에 대해 우안 각막 열상 및 우안 외상성 전방출혈로 진단하고, 응급으로 원고를 전신 마취한 뒤 우안 각막 열상에 대한 봉합술 및 외부로 탈출되어 괴사된 홍채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을 했다. 위 수술 당시 다량의 전방 혈액 응괴는 제거하지 못했다. 수술후 원고의 찢.. 2017. 8.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