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조증상2 구음장애, 의식저하, 혼수 동반한 뇌출혈 뇌출혈은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혈압, 술, 담배 등이 위험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출혈은 두통, 의식장애, 언어장애 등을 동반하는데 갑자기 증상이 발현되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아래 사례는 급성 만성 간질환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가 의식이 혼미해지고, 구음장애 등이 나타났다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던 중 갑자기 구음장애 등의 증상이 발생해 정밀검사한 결과 뇌출혈 판정을 받은 사안이다. 간질환 치료 중 뇌출혈 발생 A는 12월 17일 황달, 전신 통증, 고열로 F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A는 의료진의 문진 과정에서 매일 소주 1~2병을 마시다가 1개월 전부터 중단했는데 1주일 전부터 황달이 심하고, 전신 오한이 지속되었다고 대답했다. 진찰 결과 환자는 전신 황달.. 2024. 6. 13. 폐동정맥기형 코일색전술 후 뇌경색 발생 이번 사건은 우측폐 하엽에서 폐동정맥기형이 발견되자 코일색전술을 받은 이후 좌측 시야결손, 두통을 호소하자 뇌 MRI 촬영 결과 뇌경색이 발생해 반맹으로 인해 시야가 제한된 사안입니다. 이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뇌경색 전조증상이 있었음에도 의료진이 경과관찰을 소홀히 했는지, 코일색전술로 인해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환자에게 설명했는지 등입니다. 인정 사실 원고는 지병인 류마티스를 치료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는데요. 원고는 흉부 CT 검사 결과 우측폐 하엽에서 3mm의 영양동맥 및 7mm 병소의 폐동정맥기형이 발견되었습니다. 폐동정맥기형이란 폐동맥과 폐정맥 사이에 정상적인 모세혈관이 없이 동맥과 정맥이 바로 만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원고는 피고 병원 의료진으로부터 폐동정맥기형에 대한 코일색전.. 2021. 7.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