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단3

뇌동정맥기형 증상, 진단, 치료, 의사 주의사항 뇌동정맥기형이란? 뇌동정맥기형(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동맥과 정맥 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직접 정맥으로 이행하는 혈관기형이다. 이 경우 동맥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정맥으로 혈류가 바로 전해져 뇌출혈의 원인이 되고, 동맥 압력이 낮아지고 정맥 압력이 높아져 기형혈관 주위의 뇌 조직에 혈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주위의 뇌 조직은 신경교증과 괴사를 일으키게 되며 주변 혈관들은 자동 조절 기전에 장애가 되고, 최대한 확장하게 된다. 뇌동정맥 기형의 증상 이때 우회 배출이 잘되지 못하거나 혈관 내벽의 변성이 심하면 출혈 증상이 발생한다. 뇌동정맥 기형의 절반에서 뇌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통, 의식 저하.. 2023. 12. 23.
담낭암 증상과 의사의 검사 및 수술 주의의무 쓸개 담낭암 진단과 치료 담낭암 발생 위험인자는 담석증, 담낭 용종, 담낭벽 비후, 담체관 합류 이상(APBDU), 50세 이상, 총담관 낭종 등이다. 담낭(쓸개) 용종 크기가 10mm 이상인 경우, 담췌관 합류 이상을 동반하면 담낭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담낭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상복부와 오른쪽 늑골 아래에 둔탁한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진행된 담낭암에서는 쇠약감과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난다. 담낭암은 초음파나 CT 검사 등을 통해 담낭에 혹이 발견되면 의심하게 된다. 종양표지자 CA 19-9 검사, 내시경초음파 검사, 담낭 MRI 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감별 진단이 가능하다. 다른 부위에 발생한 암과 달리 조직검사가 대부분 불가능하다. 따라서 담낭암이 의심되면 조직검사 과정 없이 곧바로 수술과.. 2023. 12. 11.
골절수술후 추가 수술 거부했다가 2년 후 부정유합 진단 폭행으로 관골골절 비관혈적 정복술을 받고 추가적으로 관혈적 정복술을 권했지만 거부했다가 2년 후 부정유합 진단.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소, 2심 원고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폭행을 당해 우측상악골 골절상을 입고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의 의사 E로부터 협골 및 상악골의 골절 폐쇄성 등의 진단을 받고 관골골절 비관혈적 정복술을 받은 바 있다. 이후 원고가 계속 통증을 호소하자 피고 병원의 의사인 F가 관혈적 정복술을 권유했고, 수술 날짜를 잡았지만 원고가 수술을 거부하며 퇴원했다. 그런데 약 2년 후 다른 병원에서 상악골 및 관골 절단술을 이용한 개방적 교정술을 받아야 한다는 진단을 받았다. 원고의 주장 의료진이 1차 수술을 시행하면서 수술상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아 우측 관골부위 부정유합.. 2017.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