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척수신경8

혈액응고억제제 복용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 후 경과관찰을 소홀히 해 경막외혈종으로 척수신경장애 출혈 및 혈종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게 경막외 마취 아래 대퇴동맥의 막힌 부분을 우회해 인조혈관으로 슬와동맥과 연결하는 우회술을 한 뒤 경막외 혈종에 대한 경과관찰을 소홀히 해 척수신경장애를 초래해 하지근력저하 및 감각저하, 배변 및 배뇨장애 발생.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무릎 아래가 저리고 절뚝거리는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양쪽 장골동맥의 협착과 석회화, 양쪽 표재성 대퇴동맥의 협착 진단을 받았다. 피고 의료진은 이에 대해 말초혈액순환개선제인 에글란딘과 혈액응고억제제인 헤파린이 혼합된 수액을 투여했다. 병원은 4일 뒤 오른쪽 다리 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해 혈관을 확장하는 경피적 혈관성형술을 시행했지만 이후에도 원고는 통증을 호소했다. 이에 피고 의료진.. 2019. 2. 20.
후종인대골화증, 황색인대골화증 수술 의료분쟁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체 뒤쪽을 위아래로 연결하는 인대 가운데 하나인 후종인대가 비정상적으로 단단해지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움직임을 도와야 할 인대가 골화되면서 척추관을 지나는 척추신경을 압박하게 되고 이 때문에 신경 장애를 발생시키는 질환이다. 주로 경추에서 발생한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파기환송 사건의 개요 원고는 양측 하지 저린감과 통증이 악화되고, 보행장애, 배뇨 및 배변 곤란 등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MRI 검사한 결과 흉추 6-7번 중증의 척추관 협착 및 중심성 돌출, 추간판 탈출, 흉추 5-6번 후종인대골화증, 척추관 협착 및 압박성 척수증 동반한 흉추 8-9번 황색인대골화증 소견이 나왔다. 이에 의료진은 흉추 6-7번 흉강경 가이드 하 척추융합술 및 자가골 이.. 2019. 2. 1.
경추 척수염 수술후 목 부분 신경마비…척수신경 손상 쟁점 척수신경 척수 앞뿔 쪽의 운동신경과 뒷뿔 쪽의 감각신경, 자율신경의 일부가 합쳐진 신경으로 각 척추뼈 사이에서 갈라져 나오며 총 31쌍이 존재한다. 31쌍의 척수신경은 목신경 8쌍, 가슴신경 12쌍, 허리신경 5쌍, 엉치신경 5쌍, 꼬리신경 1쌍으로 구성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사진 출처: 두산백과, 네이버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5-6번 경추 부위에 척수염이 발생한 것으로 의심되고, 이로 인해 뼈의 파괴와 경막외 농양이 심하며 이미 경막외 농양에 의해 척수신경이 심하게 압박받고 있는 상태라는 설명을 듣고 수술을 받았다. 의료진은 염증이 이미 5-6번 경추 사이 추간판과 5번, 6번 경추뼈를 침범했음을 확인하고, 감염.. 2019. 1. 28.
흉복부 대동맥 동맥류 대치술후 척수신경 경색으로 하반신 마비 대동맥류 혈관벽이 부풀어 돌기나 풍선 형태로 변형되는 질병. 이 질환은 흔히 혈관벽에 지방이 가라앉아 들러붙은 침착물이 쌓여 일어날 수 있으며, 유전, 외상(trauma), 또는 혈관벽을 약하게 하는 기타 질병에 의해 일어나기도 한다. 대동맥류가 있으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관벽은 탄력성을 잃고 정상 혈압에도 혈관이 파열하게 될 수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사건: 손해배상 판결: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전격성 간염, 간부전 의증 진단 아래 치료를 받다가 퇴원한 뒤 대동맥류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것이 관찰됐다. 이에 피고 병원 흉부외과 의료진은 가성동맥류를 박리, 절제하고 인조혈관으로 대치하는 흉복부 대동맥 동맥류 대치술을 시행했다. 수술에서 .. 2019. 1. 12.
척추측만증 교정 위해 금속봉 연장술 후 하지마비 초래 신경섬유종이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수술을 위해 성장형 금속봉 연장술 과정에서 척수신경을 손상해 하지마비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신경섬유종 진단을 받고 치료하다가 척추측만 등의 교정수술을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원고는 흉추 5번에서 11번까지 만곡각이 54.5도의 심한 만곡 및 흉추의 후만이 관찰되었고, 흉추 5번에서 10번의 피하 및 피부조기에 신경섬유종이 관찰되었으며, 흉추 전반에 걸쳐 경막의 확장증과 후측 폐의 하엽에 무기폐가 관찰되었다. 이에 피고 의료진은 성장형 금속봉 연장술을 시행한 뒤 별다른 합병증이 없자 원고를 퇴원시켰다. 이어 5개월 뒤 1차 수술에서 고정시킨 성장형 금속봉을 약 2cm 연장하는 수술을 시행했는데 그 직후 원고는 자기배뇨를 .. 2017.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