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흑변2

식도 정맥류 위장관 출혈로 토혈, 혈변 있다면 식도 정맥류로 인한 상부 위장관 출혈 조치 과실 식도 정맥류는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 터지면 피를 토하는 토혈, 혈변을 보고, 심하면 출혈성 쇼크에 빠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 등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 식도와 위 정맥류 등이 원인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면 수액을 공급하고 수혈, 지혈제 투여 등을 한 뒤 빠른 시간 안에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실시해 출혈 위치를 확인하고, 결찰술이나 경화요법, 풍선탐폰법 등으로 신속하게 치료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상부 위장관 출혈 소견을 보인 환자에 대해 신속하게 내시경 검사를 해 출혈 지점을 확인한 뒤 지혈 조치를 하지 않아 저산소성 뇌 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상부 .. 2023. 8. 14.
위식도 정맥류 수술후 출혈이 발생해 지혈 했지만 사망 위내시경 검사와 출혈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간경변증 및 식도정맥류로 피고 병원에서 정맥류 결찰술을 받고 주기적으로 소화기내과에서 추적진료를 받았고, 흑변을 본 후 다시 내원했다. 의료진은 내시경 검사 결과 식도정맥류 출혈을 확인하고 정맥류 결찰술을 했는데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빼내고 내시경을 잡아 뽑으려하는 갑작스러운 과행동을 보임에 따라 시술을 중단했다. 의료진은 바로 응급실로 이실해 인공기도삽관 및 인공호흡기치료를 하고, 식도정맥류 출혈 지혈을 위해 S-B 튜브를 이용한 풍선탑폰법을 시행하고, 승압제인 도파민 지속정맥주사를 시작했다. 하지만 환자는 다량의 식도정맥류 재출혈이 발생해 사망했다. 2심 법원의 판단 환자의 경우 애초부터 출혈 가능성이 높은 위식도 정맥류를 앓고 있었.. 2017.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