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결과

1. 평가대상
○ 대상기관: 신생아중환자실 입원료를 청구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 제외: 평가대상 건수가 10건 미만인 기관, 평가대상 운영기간이 6개월 미만 기관
○ 대상기간: 2018년 7월 ~ 12월 진료분(6개월)
○ 대상환자: 대상기간 내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퇴원(퇴실)한 환자
2. 신생아중환자실 필수 진단·치료 장비 및 시설 평가기준
①모세혈 채혈로 혈액가스 분석이 가능한 현장검사 장비
②환자 이송을 위한 보육기,
③고빈도 인공호흡기
④가온가습고유량비강캐뉼라(HFNC, High Flow Nasal Cannula) 장비,
⑤이동식 초음파 장비(두부, 복부, 심장)
⑥격리실
⑦진폭통합뇌파검사기(aEEG, amplitude-integrated EEG),
⑧저체온 치료장비(Hypothermia system, 신생아 적용 가능한 두부용 또는 전신용)
※ 상급종합병원은 8종 모두 구비, 종합병원은 정해진 6가지(①∼⑥)장비 구비시 만점
3. 평가결과
가. 일반현황
○ 평가대상 기관수 및 건수: 83기관 14,046건
○ 상급종합병원 41기관(8,610건), 종합병원 42기관(5,436건)
나. 지표별 평가결과

4. 평가결과
(종합점수) 전체 평균은 86.48점(상급종합병원 89.99점, 종합병원 83.04점)
(평가등급) 1등급 38기관, 2등급 32기관, 3등급이하 13기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생아의 특성별 현황
-성별 구성은 남아가 56.4%(7,927건), 여아가 43.6%(6,119건)
-분만형태별로는 자연분만율 37.8%(5,310건), 제왕절개 분만율 62.2%(8,734건)
-다태아(쌍태아 이상) 출생 15.7%(2,203건), 단일아 84.3%(11,843건)
-제왕절개 분만은 37주 미만 미숙아(5,936건) 중에서 74.5.%(4,423건), 다태아(2,203건) 중에서 92.9%(2,047건) 차지
-출생시 체중은 2,500~4,000g미만이 63.3%(8,885건), 2,500g 미만인 저체중 출생아 34.0%(4,780건)
1등급 기관
서울
△강북삼성병원 △건국대학교병원 △경희대학교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중앙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고려대학교 부속 안암병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한양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성애의료재단 성애병원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경기권
△고려대학교 부속 안산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아주대학교병원 △인하대학교부속병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경상권
△경북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동아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충청권
△순천향대학교부속 천안병원 △충남대학교병원
2등급
서울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성심의료재단 강동성심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경기권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동국대학교 일산불교병원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경상권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대구파티마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학교법인 성균관대학삼성창원병원
충청권
△단국대학교 부속병원 △충북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전라권
△원광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강원권
△강릉아산병원 △강원대학교병원
제주
△제주대학교병원
'의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병원 적정성평가 하위 20% 환류처분 법정행 (0) | 2019.12.17 |
---|---|
복지부, 요양병원 외래진료 과잉규제 (0) | 2019.12.12 |
"요양병원 살아남으려면 간병비 제대로 받자" (0) | 2019.12.05 |
보상 없는 의료기관 의무인증에 요양병원 분노 폭발 (0) | 2019.11.28 |
병원도 개인정보 손해배상 책임보험 의무가입 대상 (0) | 2019.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