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퇴직 간호사를 직원의 실수로 간호등급에 포함 시킨 병원…법원 5배 과징금 처분 취소

by dha826 2017. 6. 25.
반응형

(정신병원간호등급 위반)

 

과징금 부과처분취소
1심 원고 승,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C병원을 운영하면서 당초 정신과, 한방내과, 한방재활의학과, 사상체질과 및 침구과로 개설허가를 받았다가 2010년 정신과, 한방내과, 가정의학과로 진료과목을 변경했다.


보건복지부는 정신의학과 의사, 간호사 등의 인력 확보 수준에 따라 정신건강의학과를 진료과목으로 하는 의료급여기관에 대해 G1~G5 등급까지 분류해 각 등급별로 입원수가를 차등화하고 있다.


피고 보건복지부가 원고에 대해 감사한 결과 간호사 D는 이 사건 병원에서 퇴직했지만 원고는 D가 계속 근무한 것처럼 통보해 실제 G3 등급임에도 G2 등급으로 신고해 의료급여비용 5천여만원을 부당 수령했다.


이에 피고는 업무정지 73일에 갈음해 총 부당금액의 5배인 2억 5천여만원 과징금 부과처분을 통보했다.


원고 주장
원고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가 퇴직했음에도 이들이 근무하고 있는 것처럼 통보한 것은 직원이 실수를 한 것으로, 속임수나 그 밖의 부당한 방법으로 의료급여비용을 부담하게 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 사건 처분은 위법하다.


또 처분 사유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피고는 위반행위의 동기, 목적 등을 고려해 과징금 금액의 1/2 범위에서 감경할 수 있는데, 병원의 사소한 실수로 야기된 것이고 첫 위반행위에 불과해 과징금을 감경할 충분한 사유가 있다.


법원 판단

단지 원고의 적극적 은폐나 고의가 없었다는 점만으로 처분의 결론이 달라진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원고 병원의 직원인 F는 간호사들이 자주 이직해 퇴직한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의 퇴직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했다고 일관되게 진술했고, 실제 당시 이직이 잦았다. 

 

위 직원들의 퇴직일이 개업일로부터 1년을 전후한 시기에 불과해 병원 운영이 숙달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점 등에 비춰보면 직원의 실수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원고의 감경 사유를 고려하지 않은 채 부당금액의 5배를 과징금으로 부과했으므로 이 사건 처분은 재량권을 일탈 남용한 처분으로 위법하다.


판례번호: 1심 1228번(2013구합146**)

판결문 받으실 분은 댓글 또는 비밀댓글에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관련 판결문 더 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