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갑상선엽절제술2

환자가 알아야 할 갑상선암, 결절, 수술 및 합병증 갑상선 결절과 암, 수술 및 환자 유의할 점 갑상선 결절(덩어리, 뭉침)은 무증상이 대부분이고, 임상적으로 갑상선암인 경우가 전체 갑상선결절 환자의 7~15%에서 나타난다.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가족 중 갑상선암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이 있거나 갑상선결절이 딱딱하게 만져지거나, 결절의 크기가 빠르게 커지거나, 쉰 목소리를 동반하는 경우 갑상선암일 가능성이 높다. 대한갑상선학회에 따르면 병원에서 1cm 이상 크기의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우선 혈액검사인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한다. 흔히 물혹으로 알려진 단순 낭성 갑상선 결절인 경우 암일 가능성이 1% 미만으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지는 않는다. 다만 낭성 결절의 크기가 커서 기도를 압박하거나, 목의 이물감을 유발하거나, 피부와 가까이 위치해.. 2024. 1. 22.
갑상선암 로봇수술후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고도 설명하지 않은 사건 로봇수술 방식으로 갑상선암 수술을 한 결과 림프절 전이 및 연부조직 침범이 있었음에도 이를 설명하지 않아 뒤늦게 잔여 갑상선 조직 절제술을 하고, 방사선요오드를 투여하는 치료를 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오른쪽 갑상선에 지금 약 1.19cm인 유두암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갑상선암 갑상선에 혹이 생긴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 하며 전체 갑상선 결절의 5~10%은 갑상선암으로 진단된다. 갑상선암은 양성 결절과 다르게 일반적으로 크기가 커지며 주변조직을 침범하거나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를 일으킬 수 있다. 갑상선암의 95% 이상은 유두암이며 이외에도 여포암, 저분화암, 미분화암, 수질암 등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이에 원고는 수술에.. 2019.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