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막절개술3 구획증후군 진단, 치료 지연 과실 수술 중 심정지 발생 원고는 군 복무중 군 병원에서 흉선종 진단을 받아 이를 제거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흉선종은 흉선(가슴샘) 세포에 생기는 원발성 종양을 의미합니다. 의료진은 3월 22일 흉강경을 이용해 흉선종 절제술을 시작했는데 1시간 15분 뒤 심정지가 발생했다. 의료진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인공심폐기를 삽입했으며, 심장제세동을 한 이후 원고는 심정지 상태에서 회복되었다. 구획증후군 발생 원고는 3월 22일 중환자실로 옮겨졌고, 인공심폐기가 삽입된 좌측 다리에 온열램프가 적용되었다. 원고는 수술 당일 오후 좌측 다리에 청색증을 보였고, 의료진은 인공심폐기 카테터를 조절하자 다리 색이 돌아왔지만 온열램프는 유지되었다. 3월 23일 경과 왼쪽 다리로 삽입했던 인공심폐기가 종료되었다... 2021. 10. 8. 치루수술 뒤 근막염, 패혈증 초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10. 2. 근육파열 수술과 혈관문합술 후 구획증후군으로 관절강직 장해 근육 괴사와 구획증후군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만취 상태에서 정신을 잃은 채 우측 무릎 후방 부위 및 종아리 열상을 입고 피고 병원에 후송돼 근육 파열에 대한 근육봉합술 및 슬와동맥 파열에 대한 혈관문합술을 받았다. 당시 원고의 슬와동맥은 거의 파열된 상태였다. 원고는 중환자실로 옮겨져 지속적으로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3일 후 우측 족지의 감각이 없는 것을 직접 확인하고, 구획증후군을 의심해 혈관조영검사를 시행한 후 근막절개술을 시행했다.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 근육들을 감싸는 질긴 막의 조직을 근막이라고 한다. 근막들이 연결되어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주머니 안에 근육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팔이나 다리 안에는 구획이라.. 2017. 9.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