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낙상고위험군6 입원환자 낙상사고, 병원과 간병인 과실 책임 병원의 입원환자 낙상사고 예방주의의무 병원 입원환자가 낙상사고로 인해 골절이나 뇌출혈, 심지어 사망에 이르는 사고가 발생했다면 병원과 간병인 중 누구에게 책임이 있을까? 먼저 병원 의료진은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의 조치를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일반적으로 낙상 고위험군에는 △65세 이상 △기립성 저혈압 △전신쇠약, 배뇨 및 배변 장애, 골다공증 △4가지 이상 약물 복용자 △항정약, 이뇨제, 진정제 등의 약물 복용자 △보행 장애 환자 △어지럼증 등이 포함된다. 의료진은 입원환자가 위에서 열거한 낙상 고위험에 해당한다면 아래와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환자에게 낙상에 주의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이동할 때에는 간병인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둘째, 의료.. 2023. 11. 16. 낙상 고위험군 환자 침대에서 떨어져 뇌출혈 낙상 고위험군 환자 침대에서 떨어져 뇌출혈 발생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빈혈, 피로, 쇠약,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발열, 출혈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특히 백혈병 환자에게 뇌출혈이 발생하면 의식 소실이 동반되고, 내과적 혹은 외과적 치료에 불응해 사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가 각종 검사와 항생제, 항암제를 투여했다면 낙상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낙상 고위험군 환자로 분류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낙상 고위험군 환자가 낙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치를 해야 할까? 첫째, 환자, 보호자에게 낙상에 대한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낙상 위험에 대한 안내문을 교부한다. 둘째,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보호자가 자리를 비우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충분히 교육해야 한다. .. 2023. 7. 28. 방사선사 엑스레이 촬영중 낙상사고 환자에 대한 낙상저위험군 판정 원고는 대학병원에서 간세포암종, 만성B형간염, 간경변 진단을 받아 경정맥 간내 혈관 단락술(TIPS)을 받은 후 입원치료를 한 뒤 피고 병원으로 전원했다. 피고 D병원 간호사는 원고에 대해 낙상 저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낙상위험평가를 했다. 낙상 위험평가란? 낙상위험평가는 △최근 3개월 내 낙상 경험 여부 △이차적 진단 여부 △보행 보조 여부 △정맥수액요법 여부 △걸음걸이 장애 여부 △의식상태 등 6개 척도와 △상주 보호자 여부 △약물투여 여부 등 2개의 선별기준을 종합해 판단한다. 낙상고위험군은 낙상위험평가도구 51점 이상이면서 선별기준 1개 이상에 해당하는 사람을 지정한다. 당시 피고 병원 간호사는 원고에 대해 이차적인 진단 있음(15점), 걸음걸이 허약함(10점)을 .. 2021. 11. 12. 병원이 방심한 찰나 검사실 침대에서 낙상사고 이번 사건은 혈소판 감소증 소견이 있는 환자를 상대로 심장초음파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낙상사고가 발생해 뇌출혈로 인해 혼수상태, 사지마비 상태에 이른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낙상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진료계약상 환자보호의무를 다했는지와 낙상 이후 처치 과정에서 과실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과거 뇌졸중으로 인해 좌측 부전마비 증상이 남아있어 왼팔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입니다. 또 심장판막치환술을 받은 후 와파린을 지속적으로 투여해 오던 중 오한, 오심, 위통, 고온으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하게 되었습니다. 원고는 응급실 도착 직후 의식이 흐려지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전신 쇠약감을 호소했습니다. 낙상 사고의 발생 의료진은 혈액검사 결과 혈소판 감소증 소견이 있고, 혈액응고검사 수치.. 2021. 8. 31. 낙상 고위험군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져 골절사고 낙상 고위험군인 90대 고령환자가 요양병원 침대에서 내려오는 과정에서 낙상해 상해를 입은 사건. 이에 대해 법원은 해당 요양병원이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충분히 다하지 않은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원고(만 93세)는 G병원에서 좌측 슬관절 가성 통풍에 따른 관절경하 세척 및 변연절제술을 받고 F요양병원 6인실에 입원했다. 변연절제술(debridement) 괴사조직 제거술로 죽은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창상이나 감염병소에서 이물, 괴사조직을 제거하고 환부를 건강한 주위조직에 노출시키는 수술이다. 원고는 입원 직후 병실 침대에서 내려오는 과정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등의 사유로 우측 대퇴골 전자간 골절을 입는 낙상사고를 당했다. 원고는 사고 다음날 피고 .. 2020. 3. 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