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염진단2

발열, 구토 증상 있었지만 뇌염 진단 지연 과실 뇌염 진단지연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소아에게 구토, 두통,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해 의원을 거쳐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뇌염 진단을 받아 치료했지만 상하지 근력저하와 강직, 언어장애 등의 후유증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소아에서 뇌염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해당 의원과 대학병원이 뇌염을 조기에 감별하기 위해 진단, 치료 주의의무를 성실히 이행했는지 여부다. 소아 뇌염 발생 사건의 경과 소아인 원고는 전날 저녁부터 구역질(오심)과 상복부 통증 및 경미한 두통이 계속되자 인근 의원을 내원했고, 의사는 위장관질환으로 진단하고 약을 처방했다. 원고는 다음 날에도 발열, 복통, 구토 등을 호소하면서 피고 의원에 내원했고, 의료진은 상세불명의 비감염성 위장염 및 대장염, 급성 .. 2022. 9. 13.
뇌염, 뇌수막염 진단 및 치료 지연 의료분쟁 열이 나고 감기 증상 있자 피고 병원 내원 소아인 원고는 11월 20일 열이 나고 감기 증상이 있어 인근 소아과에서 약을 처방받아 복용했지만 이후 갑자기 몸에 묽은 반점이 보이며, 구토를 하는 증상이 발생하자 오후 11시 30분 피고 병원 소아과 응급실에 내원했다. 이에 의료진은 위장관염 및 결장염(혹은 대장염)으로 추정 진단한 뒤 약물로 증상을 조절해본 후 증상이 지속되면 외래 추적관찰을 해 보자고 설명했고, 원고 보호자가 약 없이 귀가하고 싶다고 하자 퇴원하도록 했다. 원고는 해열제를 복용한 후에도 열이 조절되지 않았고, 계속 잠을 자려고 하면서 잘 먹지 않자 11월 21일 I병원에서 약을 처방받았지만 상태가 나아지지 않았다. I병원 뇌막염, 탈수 증상 진료의뢰서 작성 이에 I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자 .. 2022. 5.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