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출혈진단2

뇌출혈 진단, 수술, 응급상황과 의사 의무 뇌출혈 진료 의사의 주의의무, 의료사고 정황 환자가 뇌출혈 진단을 받았다면 이를 진료하는 의사는 어떤 점을 이행해야 할 의료상 주의의무가 있을까? 우선 신속하게 뇌출혈이 발생한 부위를 특정하기 위해 뇌혈관조영술과 같은 진단 검사를 신속하게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기 수술을 해야 할 것이다. 만약 병원의 사정 상 진단 또는 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상급병원으로 전원 조치해 치료 지연으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 수술 과정에서 출혈이나 장기, 신경 등을 손상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술 후에는 환자에게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지 주의 깊게 경과 관찰하고,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관련 검사와 처치를 해야 할 의료상 주의의무가 있다. 이와 함께 뇌출혈로 진단된 경우.. 2023. 12. 17.
뇌출혈 진단, 치료 및 전원의무 위반 의사의 조기 진단 및 전원 조치 의무 의사가 진찰, 치료 등의 의료행위를 할 때에는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하거나 그런 조치를 취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다면 신속히 전문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다른 병원으로 전원조치를 취해야 할 의무가 있다.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요추 척추전방전위증 등으로 킬레이션 치료를 받던 도중 구토를 한데 이어 구음장애, 시야장애 등의 증상이 발생해 상급병원에서 뇌출혈 응급수술을 했지만 부전마비 등의 후유증이 발생한 사안. 사건의 쟁점은 피고 병원 의료진이 원고에게 뇌출혈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진단, 치료하거나 전원해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여부다. 척추전방전위.. 2022. 7.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