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뇨관5

전립선비대증 증상과 수술후 요실금 아래 사례는 전립선비대증 진단 아래 수술을 받은 뒤 요실금이 발생한 사안이다. 이 사건의 쟁점은 전입선비대증수술 후 의사가 도뇨관을 꼬이도록 삽입해 괄약근을 손상시킨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전립선비대증 정의와 증상 젊은 남성의 전립선은 호두알 정도의 크기인데 나이가 들어가면서 크기가 커진다. 전립선이 비대해져 요도를 누르면 소변이 원활하게 나오지 못해 요실금 등 각종 배뇨장애를 일으키는데, 이를 전립선비대증이라고 한다. 전립선비대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예전보다 소변 줄기가 가늘어진 것 같거나 소변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고, 소변을 보는 중간 중간에 소변줄기가 끊어졌다가 다시 시작하는 것 등이 있다. 전립선비대증수술 후 요실금발생 사건 원고는 전립선비대증으로 피고가 운영하는 K비뇨기과병원에서 레이저 전립선.. 2023. 3. 27.
척추강협착, 척추전방전위증 수술후 마미증후군 척추강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진단 아래 후궁절제술 후 재수술했지만 마미증후군 발생 이번 사건은 척추강협착증과 척추전방전위증 진단을 받아 후궁절제술 및 수핵제거술을 받은 뒤 다리의 통증과 저린감을 호소해 재수술을 했지만 마미증후군을 초래한 사례입니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해당 병원이 1차 수술 후 5일 뒤에 수술 부위에서 혈종이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는데, 이 같은 의료진의 진단이 적절했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집 앞에서 넘어져 좌측 무릎을 다친 후 피고 병원에서 척추강협착증 및 척추전방전위증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척추강협착증이란? 걸을 때 다리가 당기고 아프며 허리가 구부러지는 것은 대개 척추뼈인 요추에 병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이란? 위 척추뼈가 아래.. 2021. 1. 9.
척추측만증 교정 위해 금속봉 연장술 후 하지마비 초래 신경섬유종이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수술을 위해 성장형 금속봉 연장술 과정에서 척수신경을 손상해 하지마비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신경섬유종 진단을 받고 치료하다가 척추측만 등의 교정수술을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원고는 흉추 5번에서 11번까지 만곡각이 54.5도의 심한 만곡 및 흉추의 후만이 관찰되었고, 흉추 5번에서 10번의 피하 및 피부조기에 신경섬유종이 관찰되었으며, 흉추 전반에 걸쳐 경막의 확장증과 후측 폐의 하엽에 무기폐가 관찰되었다. 이에 피고 의료진은 성장형 금속봉 연장술을 시행한 뒤 별다른 합병증이 없자 원고를 퇴원시켰다. 이어 5개월 뒤 1차 수술에서 고정시킨 성장형 금속봉을 약 2cm 연장하는 수술을 시행했는데 그 직후 원고는 자기배뇨를 .. 2017. 11. 6.
척추수술 뒤 혈종제거술 후 감각저하, 하복부 통증, 배뇨 및 배변장애 척추수술 뒤 수술 부위 혈종이 발생해 두차례 혈종제거수술을 받고 감각저하, 하복부 통증, 배뇨 및 배변 장애 초래. 혈종으로 인한 마비증상이 나타났음에도 7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혈종제거술을 한 게 의료과실인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허리 및 무릎 통증으로 약물치료를 받다가 요추부 척추측만증, 척추관협착증 등의 진단을 받고 스테로이드 주사치료 등을 받아왔다. 원고는 증상이 심해지자 피고 병원에 입원해 후방감압술과 척추체간 유합술, 후고정술 등의 척추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당시 원고의 제2-3-4-5 요추와 제1 천추 척추관이 심하게 좁아져 있어 마미 부분이 심하게 압박받고 있는 상태였다. 하지만 수술 부위에 혈종이 발생해.. 2017. 9. 17.
전립선비대증 수술후 괄약근 손상으로 요실금장애 초래 분쟁 전립선비대제거술후 도뇨관 배액줄이 꼬인 것을 교정한 후 괄약근 손상으로 복합성 요실금 장애를 초래했다는 주장.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소, 2심 화해권고 결정 사건의 개요 원고는 전립선비대증으로 피고 비뇨기과를 내원해 전립선비대제거술을 받았고,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도뇨관을 요도에 삽입했다. 원고는 수술후 소변이 나오지 않자 다음날 피고 병원을 방문한 결과 원고에게 삽입해 놓은 도뇨관의 외부로 노출된 배액줄이 꼬여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교정한 다음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켜 소변 정체 현상은 바로 회복됐다. 원고는 현재 외요도 괄약근 손상으로 인한 복압성 요실금과 과활동성 방광이 병합된 복합성 요실금 장애가 있다. 원고의 주장 피고는 도뇨관이 요도 안에서 꼬이지 않도록 삽입하고,.. 2017. 4.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