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림프절염2

임파선염 수술 부작용과 환자 유의할 점 임파선염 수술인 경부 림프절 절제술의 합병증 내지 부작용으로는 척수부신경 손상, 출혈, 피판(혈관을 가진 피부나 조직) 손상, 유미(림프액) 누출, 폐 합병증 등이 있다. 학계 보고에 따르면 목 부위 림프절 절제술 후 척수부신경 손상 비율은 42.5%에 이른다.  림프절 절제술 과정에서 척수부신경 손상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직접 손상 외에 과도한 신경 견인, 광범위한 박리로 인한 신경의 혈류 차단, 지혈 목적의 전기 소작 등이 있다. 수술 전 검사를 하는 방법으로 척수부신경 손상을 예방할 수 없고, 최선의 방법은 수술 과정에서 집도의가 신경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경부 림프절 절제술 후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또 다른 합병증으로는 어깨증후군이 있다. 그 증상은 견갑(어깨뼈 자.. 2024. 7. 1.
뇌수막염을 외이도염, 림프절염으로 오진 뇌수막염을 외이도염, 림프절염으로 오진한 의료분쟁사건. CT 검사에서 뇌수막종이 발생했음을 의심할 수 있는 사정이 나타났음에도 이를 진단하지 못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군복무중 목이 뻣뻣하고 통증이 있으며, 왼쪽 턱 부위 덩어리가 만져지는 등상으로 군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했다. 군의관은 기타 침샘 질환으로 판정하고 투약했다. 한달여 후에는 목 CT 검사, 초음파 도플러 촬영을 거쳐 외이도염 및 림프절염으로 판정하고 1~2개월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퇴원시켰다. 원고는 군복무를 마치고 사회생활을 하던 중 목 부위 통증으로 대학병원에 내원해 수막종성 뇌수막염 판정을 받아 개두술 및 두개저 종양제거술을.. 2017.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