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월상연골파열2 무릎관절 반월상 연골 파열 수술 후 관절강직 무릎관절 반월상 연골 열상 진단 원고는 우측 슬관절(무릎관절)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우측 슬관절 반월상 연골 열상(피부가 찢어짐) 진단을 받았다. 이에 피고 병원에 입원해 슬관절 반월상 연골 절제술 및 연골 성형술, 연골 동종이식술을 받고 퇴원했다. 수술 후에도 관절운동 제한, 통증 발생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퇴원한 이후에도 우측 무릎관절에 관절운동 제한이 있어 피고 병원에서 물리치료를 받았다. 그런데 물리치료를 받던 중 뿌드득하는 소리와 함께 슬관절 수술 부위에 통증이 발생했지만 피고 의료진은 원고에게 계속해서 물리치료를 받도록 했다. 치료 종결했지만 무릎관절 강직 장해 이후에도 원고는 수술 부위 통증과 관절강직을 호소했고, 다시 피고 병원에 입원해 관절강직을 막기 위해 4회에 걸쳐 관절경 하 .. 2022. 5. 15. 무릎 연골수술 후 비골신경 손상 악화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무릎을 삐끗해 반월상 연골파열 봉합술을 받은 뒤 통증, 저린감 등이 발생해 2차 수술을 받았지만 통증이 계속되고, 다리관절 근력이 약화되는 장애가 발생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1차 수술 과정에서 비골신경을 손상한 과실이 있는지, 2차 수술 후에도 환자가 통증 등을 호소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입니다. 원고의 수술 경위 원고는 작업 중 오른쪽 무릎을 삐끗해 우측 슬관절(무릎관절)에 통증이 있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약물치료를 받았습니다. 원고는 4일 뒤 피고 병원에 입원해 MRI 검사를 받은 결과 우측 슬관적 외측 반월상 전각부의 연골파열 진단을 받았습니다. 의료진은 3일 뒤 원고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1차 수술)을 시행하고, 3.. 2021. 10.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