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회후두신경3 갑상선암 수술 후 발성 언어장애 방지하려면 갑상선 수술 후 발성 언어장애 방지하려면? 갑상선암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의 하나가 반회후두신경 손상으로 이로 인해 발성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집도의는 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주의의무가 있고, 수술에 앞서 다양한 수술 방법과 각각의 수술 방법의 장단점과 부작용을 설명해 환자가 어떤 수술을 받을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안은 갑상선암 진단 아래 내시경 절제술을 하는 과정에서 반회후두신경을 손상해 직접 절제술로 전환해 수술을 마쳤지만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성 언어장애가 발생한 사안이다. 갑상선암 수술 후 발성 언어장애 발생 사건 원고는 피고 J 병원에 내원해 피로를 호소하면서 갑상선암 가족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원고는 얼마 후 피고 병원에서 갑상.. 2023. 6. 25. 갑상선 수술 후 성대마비…수술 필요성, 설명의무 쟁점 갑상선 결절 진단 아래 갑상선절제술 과정에서 반회후두신경 손상으로 성대마비…의사의 설명의무 위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원고는 무력감, 식욕부진 등으로 병원에 내원해 갑상선 2.61cm 양성 결절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서 약물 치료를 받아 오다가 별다른 증상 호전이 없자 갑상선 좌엽 절제술을 받았다. 원고는 수술 당시 출혈이 많았는데 수술 직후 쉰 목소리가 났고, 의료진은 시간이 지나면 목소리가 돌아올 것이라고 했다. 수술 이후 8개월이 지나도 목소리가 돌아오지 않자 다른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왼쪽 성대마비 진단을 받았다. 하지만 목소리 상태가 호전되지 않은 채 퇴원한 뒤 외래를 통해 약물 처방을 받았지만 목소리가 돌아오지 않자 이비인후과에서 외쪽 성대마비 진단을 받았다... 2017. 11. 16. 디스크, 척추공 협착증 수술중 신경 손상으로 성대마비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및 척추공 협착증으로 척추 골유합술과 나사못 고정술을 하는 과정에서 후두신경을 손상, 성대마비를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우측 목부터 어깨까지의 통증, 우측 견갑골부터 상박부까지의 심한 저린 통증 증을 호소했다. 의료진은 경추 4-5번, 5-6번, 6-7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및 척추공 협착증으로 진단하고 경추 5-6번 골유합술(1차 수술)을 했다. 원고는 수술후 퇴원했지만 다시 우측 어깨, 견갑골 부위의 통증 등을 호소했고, 다시 피고 병원에 입원해 경추 6-7번 골유합술 및 경추 5-6-7번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했다. 원고는 수술후 쉰 목소리가 나오는 증상이 발생했고, 후두내시경.. 2017. 10.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