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부팽창2 선천성 거대결장증 수술후 변지림, 배변장애…항문괄약근 조절 장애 선천성 거대결장증으로 장루수술, 듀하멜식 수술후 변지림, 배변장애에 따라 소아베식 수술…항문괄약근 조절기능 저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대법원 기각 사건의 개요 환아인 원고는 2001년 출생 직후 복부 팽만, 태변배설 장애, 직장수지 검사상 폭발성 배변현상을 보여 선천성 거대결장증 진단을 받고 장루 수술, 근치적 수술로 듀하멜식 수술을 받았다. 거대결장증[megacolon] 심한 변비와 고도의 결장비대확장을 주증상으로 하는 질환.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간호학대사전 원고는 이 수술을 받은 후 변비, 항문주위염, 변실금 증상이 있었고, 매일 아침 습관적 훈련, 배변 없으면 글리세린 관장을 지시하고, 때로 항문에 보호자 수지 삽입해 변괴 유무를 확인해 분쇄 제거하고, 좌.. 2017. 8. 6. 의료진 연락 두절, 장폐색을 변비로 생각해 뒤늦게 전원…CT·MRI 쵤영 안한 의료진 과실 (장폐색 사망)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항소 기각 환자는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던 중 피고 병원 의료진에게 왼쪽 배가 뒤틀리고 통증이 느껴진다는 증상을 호소했고, 의료진은 당시 자택에 있던 담당 의사 F에게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환자는 다음날 계속된 복통을 호소했고, F는 장폐색이 의심된다며 '복부 팽창이 심하고 직장관장을 3회 시행했지만 별 반응이 없어 추가진료를 위해 전원을 의뢰한다'고 기재해 피고 L병원으로 전원시켰다. 그런데 피고 L병원 의료진은 완전 장폐색이나 장 천공 소견이 없다고 결론 내리고, 추가검사를 하지 않은 채 다음날 복부 초음파 검사와 복부 CT를 받아볼 것을 권유하며 피고 K병원으로 돌려보냈다. 환자는 K병원으로 돌아온 직후부터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혓바닥에 백태.. 2017. 6.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