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봉합수술3 손가락 힘줄 파열 부목 대신 봉합수술 후 굴곡 구축 손가락 힘줄 파열 봉합 수술 후 굴곡 구축 생겼다면 손가락이 칼에 베어 신전건이 절단된 것과 같은 건성추지는 수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지만 통상적인 건성추지에 대해서는 부목 고정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주로 한다. 건성추지에 대한 수술 후 장기간 핀을 고정하면 관절운동의 제한, 봉합된 신전건과 주위 조직의 유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핀 제거 후 경과 관찰이나 물리치료를 실시했음에도 손가락의 운동 제한이 있다면 신전건의 유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런 경우에 한해 유착 박리수술을 실시할 수도 있다. 건성추지는 비수술적 방법이든, 수술적 방법이든 굴곡 구축이 어느 정도 발생할 가능성이 많고, 일반적으로 건성추지 치료 후 약 15도 정도의 운동 제한이 초래된다. 아래 사안은 손가락 힘줄 .. 2023. 7. 20. 유리파편을 제거하지 않고 봉합수술한 의료과실 의사가 유리가 깨지면서 다리에 상처를 입은 환자에게 봉합수술을 하면서 유리 파편을 남겨둔 채로 봉합했다가 재수술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원고 일부 승 사건 개요 원고는 액자 유리가 깨지면서 오른쪽 다리에 상처를 입어 피고 병원 응급실에서 의사로부터 봉합수술을 받았다. 원고는 봉합술을 받은 뒤 수술부위가 심하게 붓고 통증이 더 심해져 다른 의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받은 결과 수술 부위에 약 4cm의 유리 파편이 남아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에 원고는 피고 병원 응급실로 가서 유리조각 제거술 및 근봉합술을 다시 받고 퇴원하였다. 법원의 판결 원고는 액자 유리가 깨지면서 오른쪽 다리에 상처를 입어 피고 병원 의사로부터 봉합수술을 받고 수술부위가 심하게 붓고 통증이 더 심해진 사실이 있다. 이에 원고는 .. 2020. 2. 29. 응급구조사, 마취하고 봉합수술하다 벌금 응급구조사, 마취하고 봉합수술하다 벌금 300만원…전공의협의회장 직접 상처내고 증거 확보. 사건: 의료법 위반 판결: 1심 피고인 벌금형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00시에 있는 00병원에서 응급구조사로 근무 중인 사람이다. 의료인이 아니면 누구든지 의료행위를 할 수 없음에도 피고인은 병원 응급실에서, 열상을 치료하러 온 김00에게 주사기로 국소마취를 한 후 수술용 바늘과 실로 두 바늘을 꿰매는 봉합수술 의료행위를 했다. 법원 판단 이 사건 범행은 국민의 건강을 위해 의사 등 의료인이 아니면 의료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한 의료법의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서 그 죄질이 가볍지 않다. 더욱이 피고인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조사로서 누구보다도 그와 같은 사실을 잘 알면서도 이와 같은 잘못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비난 .. 2017. 6.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