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빈호흡4 신생아 호흡곤란, 저혈당증 증상과 처치과정 과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진단 일반적으로 청색증은 심장질환 또는 호흡계 질환으로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나타난다. 신생아에게 청색증이 나타나면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일과성 신생아 빈호흡, 태변흡인증후군,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신생아 폐고혈압증 등을 의심할 수 있다. 청색증 및 호흡곤란으로 산소공급을 실시한 신생아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흉부방사선촬영, 혈액검사, 동맥혈가스분석검사, 혈당을 비롯한 생화학검사 등을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또 신생아의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맥박, 호흡수, 피부색, 의식상태를 감시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제왕절개 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가 청색증, 호흡곤란, 빈호흡 증세를 보여 상급병원에서 호흡곤란증후군, 저혈당증, 패혈증 치료를 받았지만 심정.. 2023. 3. 24. 교통사고환자 급성출혈 수혈 안한 과실 교통사고로 피고 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는 교통사고로 다쳐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는데 당시 의식은 명료했고, 흉통과 호흡곤란을 호소했다. 의료진은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뇌 CT, 복부 및 골반 CT, 흉부 CT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우측 1번에서 8번 늑골 골절과 좌측 1번 늑골 골절이 있었고, 양측 상부 폐야의 폐 좌상, 우측 외상성 혈기흉 등이 있었다. 빈호흡 발생해 인공호흡기 착용 당시 환자의 흉부 및 폐의 부상 정도는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부상이었고, 폐 좌상이 심해 호흡부전 가능성이 있는 상태였다. 환자는 내원 후 호흡곤란을 호소했고, 피고 병원에 내원한 후 빈호흡이 있었으며, 의료진은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고, 다음 날 인공호흡기를 적용했다. .. 2022. 3. 16. 자연분만 후 뇌출혈과 신생아가사…전원의무도 위반 태아가 심하게 몰딩된 상황에서 무리하게 자연분만을 시행해 신생아에게 뇌출혈과 신생아 가사를 초래하고, 빈호흡과 저혈당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음에도 상급병원으로 신속하게 전원하지 않은 의료진의 과실을 인정한 판결.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초산부로서 출산예정일이 지나도 진통이 시작되지 않자 임신 41주 4일째 유도분만을 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원고는 09:30경부터 분만촉진제 옥시토신을 투여받았고, 15:30경 태아의 머리에 몰딩이 발생했다. (몰딩: 태아의 머리가 좁은 산도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기 위해 머리의 봉합 부분이 겹쳐지는 것을 말한다) 분만 중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태아 머리의 몰딩이 심하거나 오래된 상태에서 분만이 진행되지 않으면 머리.. 2019. 2. 10. 신생아 폐동맥 고혈압 사망…심초음파검사, 계면활성제 투여 쟁점 제왕절개 분만후 신생아가 폐동맥 고혈압으로 사망한 사건. 지속성 폐고혈압 진단 지연, 심초음파검사 미실시, 계면활성제 투여 시점 등이 쟁점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임신 35주 2일째 조기파막으로 피고 병원으로 전원돼 태아가 거꾸로 위치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제왕절개수술을 거쳐 신생아를 출산했다. 신생아는 흉부견축과 빈호흡 증상이 있자 의료진은 신생아중환자실로 옮겼다. 흉부견축 숨을 쉬기가 어려워 숨을 들이쉴 때 복부가 안으로 함몰되는 증상. 의료진은 산소를 투여하면서 관찰하다가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고 흉부견축과 그렁거림이 심해지자 산소 양을 늘리고 계면활성제를 투여한 후 상급병원으로 전원했다. 하지만 신생아는 상급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지속성 .. 2017. 9.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