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척술2 회전근개파열 수술후 어깨통증, 관절운동 제한…병원감염 책임 회전근개 파열에 따라 견관절 회전근개 재건수술을 받고 녹농균, 골수염 등으로 어깨통증과 관절운동 제한 지속…부제소합의의 효력과 병원감염의 의료진 과실 여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어깨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서 우측 회전근개 광범위 파열 진단을 받고 우측 견관절 회전근개 재건수술(1차)을 받고 퇴원했다. 그러나 원고는 수술 부위에서 염증이 발견돼 절제 및 세척술과 힘줄고정나사 제거술(2차)을 받았지만 세균배양검사 결과 녹농균이 검출돼 입원치료를 받았다. 원고는 우측 어깨 통증이 계속되자 다른 병원에서 어깨 근육둘레띠 근육 및 힘줄 손상 및 열상 진단 아래 입원해 치료를 받았지만 호전되지 않아 피고 병원에 다시 입원해 회전근개 손상 수복술, 절제 및 세척술.. 2017. 11. 7. 창상 봉합후 감염성 관절염 진단, 감염으로 장애판정…의료진 설명의무 위반 감염성 관절염 분쟁 사건: 손해배상 판결 선고: 2014년 4월 2심 원고 일부 승소 원고는 카페에서 시비 끝에 넘어져 화분 조각에 우측 무릎에 찔리는 우측 슬관절 내측부 창상을 입고 피고 병원 응급실에 도착해 방사선 검사와 드레싱(소독)을 받았다. 관절 내로의 식염수 투여 검사 결과 관절막의 손상이 없음이 확인된 뒤 창상 부위 세척과 봉합 치료를 받았으며, 창상 부위를 매일 소독해야 하고, 2주 정도면 나을 것이라는 설명을 들은 뒤, 1일분의 진통제, 항생제, 소화제를 받아 퇴원하였다. 원고는 다음 날 다시 피고 병원에 내원해 창상 부위 소독을 받았고, 피고가 운영하는 의원에 내원해 우측 슬관절, 양측 상지 주관절 및 목 부위 통증을 이유로 방사선 검사와 혈액 검사를 받았는데 당시 특이 소견은 없었고,.. 2017. 4.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