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면내시경검사3

안전한 수면내시경검사 병원과 의료사고 대응 수면내시경 안전하게 하는 병원 선택 방법 수면내시경검사를 하기 위해 프로포폴을 투여한 뒤 수면 유도가 되지 않거나 무호흡 증상이 발생하거나 갑자기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소를 공급하고, 기관 삽관을 하거나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고 심장 마사지를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으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예방하고, 안전하게 수면내시경 검사를 하는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프로포폴 부작용 먼저 프로포폴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프로포폴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마취제로, 진정 후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이 적어 외래 환자 수술, 내시경 검사 등 간단한 시술에서 진정이 필요할 때 많이 투여한다. 그러나 호흡 억제 .. 2023. 11. 11.
수면내시경검사 후 회복실 침대 낙상사고로 척추손상 수면내시경검사 후 회복실 침대에서 낙상사고가 발생해 경추손상 수면내시경은 약제를 사용해 진정을 유도해 가수면 상태에서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고 종료후 기억상실을 초래하는 내시경 검사방법입니다. 이때 진정제로 사용하는 미다졸람은 투여후 1~2분 이내 약효가 발휘되기 시작해 15분에서 최대 2시간 30분까지 약효가 지속됩니다. 이번 사건은 환자가 수면내시경검사를 받고 회복실에서 의식을 회복하던 중 침대에서 낙상해 경추손상으로 수술을 받았지만 하지 부전마비, 배뇨 및 배변 장애 등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 병원 의료진은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원고에게 식도, 위, 십이지장 수면내시경검사를 실시했습니다. 의료진은 미다졸람을 주사한 후 오전 10시경부터 약 9분간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했습니.. 2021. 2. 27.
수면내시경 검사 전 과거병력 조사 안한 의사과실 이번 사건은 수면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던 도중 환자에게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 결국 저산소성 뇌손상을 입은 사례입니다. 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환자에게 수면무호흡 증상이 있었음에도 의료진이 수면내시경검사 이전에 이를 확인하지 않은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의원에서 얼굴 지방이식수술을 하면서 수면내시경 방법으로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를 함께 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피고 의료진은 먼저 수면내시경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원고에게 프로포폴을 투여했지만 수면유도가 되지 않자 추가로 프로포폴 4㎖를 투여하여 합계 8㎖를 투여했습니다. 약 15분간 수면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던 중 원고가 무호흡 증세가 나타났고, 의료진은 수면내시경 검사를 중단하고 내시경 기구를 뺀 다음 응급조치를 위해 .. 2020.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