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경손상52

수액 정맥주사 후 아리고 찌릿찌릿하다면 손목 요골감각신경은 팔의 정맥 혈관과 인접해 있어 정맥주사 과정에서 자칫하면 주사침에 의해 신경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주사 과정에서 요골감각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할 의무가 있다. 요골감각신경이 손상되면 감각 저하, 마비, 통증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정맥주사 과정 요골신경 손상 사건 K는 설사와 구토 증상으로 D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혈액 채취와 정맥주사 라인 확보를 위해 K의 오른쪽 손목 부위에 주사를 놓았다.   그런데 환자는 주사를 놓은 직후 심한 통증을 호소했고, 의료진은 주삿바늘을 제거한 후 다시 왼쪽 팔 부위에 정맥주사 라인을 확보했다.   환자는 오른쪽 손목 부위에 주사를 맞은 직후부터 엄지손가락 안쪽의 감각이 없다는 증상을 호소했고, D 병원에 내.. 2024. 7. 24.
치료 힘든 허리 척추관협착증, 염좌, 통증 척추관 협착증,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추간판 장애는 비수술적 치료나 수술을 하더라도 호전이 잘 되지 않는다. 아래 사례는 만성적인 척추관 협착증, 염좌 증상으로 고주파 열치료를 받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현미경적 미세 감압수술을 받은 사안이다.  K는 D 병원에서 신경뿌리병증을 동반한 허리등뼈(요추)와 기타 부위 디스크 등의 추간판 장애, 허리등뼈 염좌(인대와 근육 손상) 진단을 받고 입원치료를 받았다.  신경뿌리병증은 신경근병증이라고도 하는데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을 의미한다.  환자는 그 과정에서 추간판 내 고주파 열치료술과 경막 외 신경차단술 치료를 받았다.  고주파 열치료는 특수한 바늘을 사용해 절개하지 않고 고주파 열을 이용해 디스크 벽을 이루는 콜라겐 섬유를 수.. 2024. 6. 22.
신경초종 환자가 알아야 할 수술 후 마비, 장애 신경초종 수술 후 부작용 발생 사례들 K는 오래전부터 오래 걸으면 왼쪽 허벅지에 불편감이 있자 F 병원 정형외과에서 문진과 MRI 검사를 받았다. 그 결과 왼쪽 허벅지 좌골신경 부위 종양이 악성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확인되자 조직생검술을 받았다.  조직생검술은 종양의 일부 조직을 떼어내 악성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료진은 조직 검사 결과 주된 종양이 신경초종으로 확인되자 수술하기로 했다. 신경초종은 6.2 ×9.4cm 크기로 커서 그대로 두면 좌골신경을 압박해 감각장애, 운동장애를 초래할 수 있어 제거 수술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신경초종 수술 과정 주의할 점신경초종은 인체의 모든 신경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양성종양으로 대부분 단발성이며, 껍데기에 둘러싸여 있다.  신경초종은 신경외.. 2024. 5. 21.
신경초종 수술 대상과 신경 손상 부작용 신경초종 진단, 수술, 합병증신경초종은 신경세포(뉴런, neuron)를 따라 발생하는 종양이다. 대부분 단발성으로 신경외막, 즉 신경 껍질로 이루어진 피막에 싸여 말초신경, 두개신경 또는 교감신경을 따라 발생한다. 확인은 조직검사를 통해 하지만 수술 전에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신경초종은 촉지 되는 종물과 더불어 문진으로 밝혀진 증상의 양상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고,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MRI 검사를 시행하더라도 크기가 작은 종양들은 주된 종양의 일부인지, 주변 조직이나 신경 속에 연결된 별개의 종양인지 여부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집도의가 수술을 시행하면서 수술 시야를 통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다. 이는 발생빈도가 낮은 희귀한.. 2024. 5. 20.
후종인대골화증 증상과 수술 집도의 준수 사항 후종인대골화증 집도의 주의의무 후종인대골화증은 후종인대가 두터워지고 뼈처럼 딱딱해져 각종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증상은 목 디스크처럼 목덜미가 결리고 뒷목과 양 어깨가 뻐근하고 쑤신다. 손이 저리거나 팔에 통증이 있으며, 손에 힘이 없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심하면 다리 감각 이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주로 전신 마취 아래 전방 경유 절제술 및 유합술 등을 시행하게 되는데 수술 과정에서 의료진의 잘못으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신중하게 병원, 의료진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종인대골화증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수술 전, 수술 과정, 수술 후 경과 관찰 과정에서 지켜야 할 주의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환자에게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2023. 1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