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구운동장애3

비중격만곡증에 부비동 내시경수술 후 복시, 안구운동장애 이번 사건은 비중격만곡증 진단을 받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기능내시경 부비동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후사골동 부위 지판을 손상시켜 복시, 외사시 장애 등 안구운동장애를 초래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비중격만곡증 등의 진단을 받고 통원치료를 받던 중 수술을 위해 입원했습니다. 비중격만곡증은 비중격이 휘어져 코와 관련된 증상이나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의 비중격만곡증 치료를 위해 비중격 성형술 및 부비동 부위 염증 제거를 위한 기능내시경 부비동수술을 시행했습니다. 그런데 수술 도중 원고의 우측 후사골동 부위의 지판이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때문에 원고는 수술 직후 복시와 안구통증 등의 증상을 호소했습니다. 수술 당일 시행한 CT 촬.. 2021. 5. 25.
목디스크수술 후 시신경병증으로 시력저하, 안구운동장애 복와위 자세로 목디스크수술 과정에서 시신경병증 시력저하 이번 사건은 정형외과에서 목디스크수술 후 허혈성 시신경병증으로 인해 시신경위축으로 시력 저하, 동공운동장애가 발생한 사안입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의료진이 복와위 상태에서 수술하는 과정에서 안구가 압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해 이런 후유증이 발생했다고 판결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 정형외과에 입원해 제1-2 경추(목뼈)간 기존 고정물 제거, 금속고정 및 자가골이식술을 받았습니다. 원고는 같은 날 오전 11시 경 회복실에 입실해 30분 뒤 마취에서 회복되어 병실로 이동했는데 12시 경부터 눈이 보이지 않는다고 호소했습니다. 오후 3시 50분 피고 병원 전공의가 오른쪽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상태를 확인하고, 원고는 오후 4.. 2021. 2. 14.
성상세포종 종양절제술 이후 안구운동장애, 복시, 운동실조증, 안면신경 부전마비 등 초래 의료진이 우측 소뇌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에 대해 종양절제술을 하는 과정에서 혈관 등 주변의 중요 구조물을 손상해 안구운동장애, 복시, 내사시, 시야장애, 보행 및 균형 장애 등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간헐적인 두통 증상을 겪다가 심한 두통을 느껴 피고 병원에 입원해 검사 결과 우측 소뇌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 진단을 받았다. 성상세포종 뇌세포에는 신경세포(neuron)와 신경세포를 지지해주고 영양분 공급, 노폐물 제거 등의 역할을 해주는 아교라는 뜻의 교세포(glial cell), 두 종류가 있다. 뇌에 생기는 종양에 신경세포종양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이 교세포종이며 다른 말로 신경교종이라고 한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암의 분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분류.. 2019.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