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명치료3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출혈, 뇌부종 발생 스텐트 보조 코일색전술 경위 환자는 왼쪽 눈이 잘 떠지지 않는 불편과 좌측 두통을 호소하다가 피고 병원 신경과에 내원했다. 환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피고 병원에서 뇌 자기공명검사(MRI)와 뇌 자기공명혈관검사(MRA)를 받았다. 그 결과 왼쪽 중대뇌동맥의 비파열성 뇌동맥류 소견을 보였고,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했다. 뇌동맥류란? 뇌동맥류는 혈관 벽의 이상으로 혈관의 일부가 늘어나거나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뇌동맥류 중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를 비파열 뇌동맥류라 하고, 딸낭은 동맥류 중 모양이 불규칙해 동맥류의 벽이 늘어나 또 하나의 동맥류가 기존의 동맥류에 붙어있는 듯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코일색전술 도중 출혈 발생 피고 병원 신경외과 의료진은 딸낭(daughter s.. 2021. 12. 2.
수술방법 선택 과정의 과실 방광암 수술 경위 환자는 방광암 진단을 받고 피고 대학병원에 입원해 방광내시경을 이용한 경요도 방광절제술을 받았다. 그리고 이후 세 차례 항암화학요법 항암치료를 이어갔다. 환자는 약 4달 뒤 침윤성 방광암을 치료하기 위해 다시 피고 병원에 입원해 약 10시간에 걸쳐 전신마취 아래 로봇 보조 복강경하 근치적 방광절제수술을 받았다. 방광암 치료법 방광암은 표재성 방광암과 침윤성 방광암으로 나뉜다. 침윤성 방광암은 방광의 근육층에 암세포가 침범해 혈관성 전이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침윤성 방광암이 진단되면 수술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는 내시경적 절제술, 항암치료 등을 할 수 있다. 로봇 보조 복강경하 근치적 방광절제술은 정확하고 정교하게 수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출혈 .. 2021. 10. 10.
폐암을 의심해 기관지내시경 조직생검 중 대량출혈로 뇌손상 식물인간 폐암을 의심해 기관지내시경 조직생검 중 대량출혈로 뇌손상 식물인간…선택진료의사가 아닌 의사가 검사했다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항소 기각(소송 종결) 사건의 개요 환자는 기침, 객담, 발열 증상으로 인근 병원에 내원해 폐렴이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고 2008. 2. 16. 피고 병원 호흡기내과에 입원했다. 피고 병원 호흡기내과 의료진은 우상엽에서 3.5㎝ × 2.3㎝ 크기의 덩어리(mass)가 발견돼 폐암이 의심되자 이를 확진하기 위해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는 기관지내시경을 환자 구강으로 넣어 성대, 기관, 기관분기부를 지나 우상엽 후분지로 진입해 첫 번째 조직생검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러나 두 번째 조직생검 직후 대량의 출혈이 발생해 구강으로.. 2017. 7.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