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위내시경6

수면 내시경검사 후 깨어나지 않는다면 수면 내시경검사 의료진의 주의의무 면 내시경검사를 하기 위해 프로포폴을 투여하는 의사는 의학적으로 권고되는 용양과 투여 방법을 준수해 안전하게 투여해야 하며, 내시경검사 과정 및 검사 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하게 살펴 청색증 등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프로포폴 투여 후 위, 대장 내시경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산소포화도 저하 증상이 나타났고, 검사를 모두 마친 뒤 회복실에서 청색증이 발생해 응급처치를 했지만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수면 내시경검사 후 심정지 발생 사건 A는 피고가 운영하는 I병원에서 위와 대장 내시경검사를 받기 위해 종합검진센터를 내원했다. 당시 환자는 신장 167cm, 체중 89kg, 체질량지수(BMI) 31.9kg/㎡로 비만이었다.. 2023. 6. 14.
위대장내시경 검사 중 용종수술한 뒤 복통, 복막염 용종제거 시술 후 출혈, 복막염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위, 대장 수면 내시경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용종이 발견되자 절제시술을 한 뒤 대장 천공, 출혈, 복막염이 발생해 개복수술을 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면 내시경검사 과정에서 용종이 발견될 경우 시술 방법과 후유증 등에 대해 설명할 의무를 다했는지, 용종제거수술 과정에서 의료진의 과실로 인해 천공, 복막염이 초래되었는지 여부다. 용종제거시술 후 복막염 발생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 내과를 방문해 위, 대장 수면 내시경검사를 받았는데, 검사 과정에서 2개의 용종을 발견해 이를 절제하는 시술을 했다. 원고는 시술 이후 복통을 호소하다가 I병원으로 후송되어 대장 천공 및 출혈, 복막염 진단을 받았다. 이에 I병원은 복강경하 시험적 .. 2022. 9. 29.
수면무호흡 증상 확인하고도 수면내시경검사 해 뇌손상 초래 수면내시경검사 후 뇌손상 초래한 사건. 수면무호흡 증상 상급병원 전원, 응급상태 대비 등의 적절성이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피고 상고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위궤양 등으로 피고 의원에서 수면내시경 검사를 받았다. 피고는 후배인 외과 전문의 K에게 원고에 대한 얼굴 지방이식 수술과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를 함께 해 줄 것을 부탁했다. K는 우선 수면내시경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원고에게 프로포폴 4㎎을 투여한 뒤 수면 유도가 되지 않자 추가로 4㎎을 투여했다. K는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던 중 원고가 무호흡 증세(apnea)를 보이자 내시경 검사를 중단하고 응급조치에 나섰으나, 기도 확보를 하지 못하고 앰부배깅만 한 뒤 상급병원으로 전원했다. 원.. 2017. 9. 17.
위암수술 후 복막염이 발생하고, 늑간정맥 손상한 의료과실 위암수술 후 복막염이 발생하고, 늑간정맥을 손상한 사건. 의료진이 시술 과정에서 늑간정맥을 손상하기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소,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피고 병원은 망인에 대해 위내시경 및 조직검사를 토대로 조기 위암으로 진단하고, 복강경하 근치적 위절제술을 했다. 망인은 수술 직후부터 수술 부위 통증과 복부 팽만감을 호소했고, 수술 후 4일째에는 백혈구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났다. 그 뒤 망인은 때로는 심한 통증과 복부 불편감을 호소하다가 때로는 별다른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의료진은 수술후 7일째 흉부 X-ray 검사 결과 양측 폐에 흉수가 관찰되었지만 백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인데다 발열 소견이 없어 퇴원 결정을 했다. 그런데 퇴원한 직후 수술.. 2017. 9. 13.
식도 협착 풍선확장술 후 맹장 천공…수술 지연 과실 식도 협착부 풍선확장술 후 복부 장 마비, 기복증, 전신염증반응증후군 있어 개복한 결과 맹장 천공…수술 지연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연하곤란 증상으로 피고 대학병원에 입원했고, 위내시경 상 식도공장문합부 연결 부위의 협착 소견이 나타났다. 연하곤란[dysphagia ] 보통 음식을 삼키거나 물을 마실 때 정상적으로는 아무런 감각이나 저항 없이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쉽게 통과하는데, 음식이 지나가는 감각이 느껴지거나 음식이 식도 내에서 내려가다가 지체되거나 중간에 걸려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것을 연하곤란이라고 한다. 연하곤란은 인두로부터 식도를 거쳐 위 분문부(입구부위)에 이르기까지 기계적인 협착이나 운동성 장애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지.. 2017.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