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석2 위 결석 제거수술 과정에서 출혈 발생 위 결석에 대해 3차례 내시경 위석 제거술 환자는 승모판 역류로 인한 승모판 치환술을 받고 심방세동을 진단받아 혈액응고 억제제인 와파린을 복용하고 있었다.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시행한 내시경 검사 상 위 결석(위석)이 발견되어 내시경을 이용한 위석제거술을 받기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3차례에 걸쳐 위내시경 위석제거술을 시행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3차 수술 후 혈색소 저하 발생 그런데 3차 시술 이틀 뒤 환자에게 혈압이 떨어지고 어지러움, 창백, 복부 통증 등이 발생해 혈액검사, 흉부 X선 검사 등을 시행한 결과 혈색소 저하가 확인되었다. 의료진은 증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위내시경을 시행했지만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 가성 동맥류 확인하고 색전술 시행 이후 환자에게 저혈압, 혈색소.. 2022. 5. 7. 내시경 위석제거술 하면서 위벽 및 혈관 손상해 가성동맥류 파열 의료과실 의사는 진료를 할 때 환자의 상황과 당시의 의료수준 그리고 자기의 지식경험에 따라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진료방법을 선택할 상당한 범위의 재량을 가진다. 또 그런 재량이 합리적인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닌 한 진료 결과를 놓고 그 중 어느 하나만이 정당하고 이와 다른 조치를 취한 것을 과실이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대법원 2005다5867 판결).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과거 승모판 역류로 승모판 치환술을 받은 바 있고, 심방세동 진단으로 혈액응고억제제인 와파린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자가면역성 간염(AIH) 진단을 받았다. 환자는 내시경 검사상 위석이 발견돼 3차례 위내시경하 위석제거술을 받았는데 모두 실패했다. 환자는 그 뒤 혈압이 떨어지고 어지러움, 창백, 복부 통증.. 2018. 12.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