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공고관절수술2

고관절 골절환자 발열 감별검사, 수술후 출혈 조치 안한 과실 인공고관절 수술 전 열이 있었지만 감별검사 안하고, 수술후 출혈 조치 미흡 이번 사건은 고령의 치매환자가 문턱에 걸려 넘어져 고관절 골절사고를 당해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뒤 사망하자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한 사례입니다. 소송의 쟁점은 환자에게 발열이 있었음에도 감별검사를 하지 않고 수술을 한 점, 수술 과정에서 투여한 수액량이 적정했는지, 수술 후 경과관찰 상 과실이 없었는지 등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치매 증상으로 요양원에서 생활하던 중 목욕탕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를 당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는데요. 정형외과 의료진은 좌측 대퇴 중간경부(고관절) 골절 진단을 한 뒤 수술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수술 당일 오전 6시 경 환자의 체온은 38.3도, 오전 8시 경 37.7도로 각각 측정되자 의료진.. 2020. 12. 27.
인공고관절수술 의사의 과실 인공고관절수술을 하는 의사는 인공관절이 탈구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가 있다. 이번 사건은 고관절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에 대해 인공 고관절수술을 한 뒤 탈구가 발생해 수차례 수술을 하고, 운동 제한에 따라 장애판정을 받은 사안이다. A는 통증을 동반한 좌측 고관절의 운동장애로 C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은 결과 좌측 고관절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진단을 받았다. 이에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7일 후 병실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탈구가 발생해 도수정복술을 받았지만 다시 탈구가 발생해 컵위치 조정술을 받았다. 8일 뒤 단순 방사선검사 결과 탈구가 다시 확인되어 C병원은 마취후 재정복술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다음날 컵치환 재수술을 시행했다. 그러나 3차례에 걸친 수술에도 불구하고 수술 부위인 좌측 고관절.. 2020.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