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파선염2 임파선염 수술 부작용과 환자 유의할 점 임파선염 수술인 경부 림프절 절제술의 합병증 내지 부작용으로는 척수부신경 손상, 출혈, 피판(혈관을 가진 피부나 조직) 손상, 유미(림프액) 누출, 폐 합병증 등이 있다. 학계 보고에 따르면 목 부위 림프절 절제술 후 척수부신경 손상 비율은 42.5%에 이른다. 림프절 절제술 과정에서 척수부신경 손상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직접 손상 외에 과도한 신경 견인, 광범위한 박리로 인한 신경의 혈류 차단, 지혈 목적의 전기 소작 등이 있다. 수술 전 검사를 하는 방법으로 척수부신경 손상을 예방할 수 없고, 최선의 방법은 수술 과정에서 집도의가 신경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경부 림프절 절제술 후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또 다른 합병증으로는 어깨증후군이 있다. 그 증상은 견갑(어깨뼈 자.. 2024. 7. 1. 림프관종 수술 과정에서 척수부신경 손상 초래 주장 림프관종 수술 과정에서 척수부신경 손상을 초래했다는 의료분쟁.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소송 종결) 사건의 개요 원고는 좌측 경부 종괴를 이유로 피고 병원을 방문해 결핵성 임파선염으로 진단받고 경과를 관찰했는데 약 1년 7개월이 지난 뒤까지도 종괴의 크기에 변화가 있을 뿐 없어지지 않아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절개를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피고 병원은 피고 B의 집도 아래 좌측 경부의 림프절을 적출한 후 조직검사를 시행한 후 원고에게 별다른 문제가 없자 같은 날 퇴원하도록 했다. 원고는 며칠 뒤 피고병원을 방문했을 때에도 특별한 이상증세를 호소하지 않았다. 적출한 종괴에 대한 조직검사 결과 위 종괴는 낭림프관종 또는 주머니림프관종으로 밝혀졌다. 림프절(임파절) 각종 .. 2017. 7.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