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혈대3

인대 파열 재건술 부작용, 수술 집도의 주의점 파열 인대 수술 부작용과 의사 준수 사항 인대가 파열되어 인대 재건술을 하는 과정에서 신경을 손상하면 발가락을 위로 들어 올리지 못하는 족하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수술 부위 통증, 감각 및 근력 저하 등 복합부위 통증증후군이 발생하거나 수술 부위 염증으로 재수술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이처럼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 등에 대해 인대 재건술을 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장애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주의 의무를 준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인대 파열 재건술 의사의 주의 의무 다음은 인대 파열에 대해 인대 재건수술을 하는 의사가 지켜야 할 기본적인 주의의무를 정리한 것이다. 가. 신경 손상, 과도한 신경근 박리 주의 의사는 인대 파열 .. 2023. 11. 21.
골절 수술 지혈대 수칙 어기고, 횡문근융해증 초래 아래 사례는 정강뼈, 종아리뼈 골절에 대해 지혈대를 사용하면서 6시간 이상 수술 한 뒤 횡문근융해증과 급성 신부전이 발생해 신경 마비, 만성신부전 2기 판정을 받은 사안이다. 손해배상소송의 쟁점은 의료진이 지혈대 사용 수칙을 위반했는지, 횡문근융해증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지연했는지 여부다. 정강뼈, 종아리뼈 골절 수술 후 신경마비, 만성신부전 원고는 발목이 안쪽으로 꺾인 채로 넘어져 피고 병원에서 경비골 골절 진단을 받아 입원했다. 의료진은 X-ray 촬영한 결과 좌측 다리 정강뼈(경골) 분쇄골절, 종아리뼈(비골) 골절 및 오스굿슐라터병인 것으로 진단했다. 의료진은 오후 5시 좌측 슬개 건을 절개하고, 오스굿슐라터병에 의한 뼈 조각을 제거한 다음 정강뼈 골절에 대해 금속정을 삽입하기 위해 먼저 가이드 핀.. 2023. 5. 16.
경비골 골절 수술 지혈대 사용수칙을 어겨 부종, 만성신부전 초래 경비골 골절을 수술하면서 지혈대 사용수칙을 준수하지 않은 과실 사건명: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좌측 경비골 골절 진단을 받고, 오후 5시 45분경 좌측 슬개 건을 절개하고 오스굿 슐라터병에 의한 뼈조각을 제거했다. 이후 관헐적 정복술로 경골 골절에 대해 금속정을 삽입하기 위해 먼저 가이드 핀을 삽입하던 중 가이드 핀이 빠지고 정복이 되지 않았다. 그러자 비골 골절을 먼저 정복하기로 해 비골을 금속판 및 나사로 고정하고, 다시 경골에 금속정의 삽입을 시도했으나 여의치 않아 경골도 금속판 및 나사로 고정한 다음 오후 11시 50분경 수술을 종료했다. 의료진은 수술 과정에서 지혈대 사용, 감압을 반복했다. 원고는 일반 병실로 이실되었는데 자가배뇨를 하지 못해 인공.. 2017.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