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추간판탈출4

추간판 탈출, 허리디스크 수술 전 알아야 할 점 추간판 탈출, 허리디스크 치료와 환자 주의사항 갑작스러운 추간판 탈출, 허리 디스크가 발생하면 어디서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할지 당황스럽다. 또 의사에 따라 바로 수술을 하는 게 좋다거나 보존적 치료를 먼저 받아보라고 권하기도 해 난감하다. 다음은 추간판 탈출, 허리디스크 환자가 알아두어야 할 점을 정리한 것이다. 1. 보존적 치료 후 시술 또는 수술 추간판 탈출 소견으로 진단된다고 해서 바로 수술하지 말고 시술을 해야 할 정도로 심하지 않을 때에는 물리치료, 운동, 신경성형술 등을 우선적으로 받아온 뒤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그때 수술해도 늦지 않다. 특히 디스크 수술은 한번 하고 나면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2~3군데 병원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본 뒤 신중하게 수술을 받을지, 받는다면 .. 2024. 1. 28.
요통, 방사통으로 한방병원에서 약침, 도침 후 보행장애 각서와 합의서 등 부제소합의 후 손해배상 청구 민사소송 이번 사건은 요통, 하지 방사통을 치료하기 위해 한방병원에서 약침과 도침 치료를 받은 뒤 보행장애가 발생한 사례입니다. 또 하나의 쟁점은 환자가 한방병원과 두차례에 걸쳐 치료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각서와 민형사상 민원을 제기하지 않겠다는 합의서를 작성해 놓고도 손해배상소송을 청구한 게 적절한 게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으로 치료를 받아왔고, 2012년 경부터는 우측 엄지발가락의 근력이 약화되어 불완전 마비증상이 발생했습니다. 원고는 요통 및 우측 하지 방사통 등을 치료하기 위해 피고가 운영하는 한방병원에 내원했는데요. 피고는 원고의 증상에 대해 요추 3-4번의 추간판 팽윤, 요추 4-5번 및 요추 5-천추1번.. 2020. 12. 10.
후종인대골화증, 디스크 동반 척추관협착증 수술 의사 과실 의사가 경추 후종인대골화, 추간판탈출을 동반한 척추관협착을 수술하는 과정에서 경막을 파열해 상하지 불완전 마비, 배변 및 배뇨장애를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상하지의 마비(근력 약화) 증상과 양측 손, 다리의 저린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이에 의료진은 경추부 MRI 촬영을 거쳐 척수 불완전 마비, 경추 5-6번 후종인대골화, 추간판탈출을 동반한 척추관 협착으로 진단했다. 후종인대골화증 뼈와 뼈 사이의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해 주기 위해 인대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목 부위 경추에서 꼬리뼈 근처의 천추까지 척추 전체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인대가 존재한다. 척추의 전방에서 지지하는 것이 전종인대이며.. 2019. 2. 12.
6개월 보존적 치료 없이 케이지 삽입수술 하자 심평원이 삭감 (케이지 삽입수술) 요양급여비용 불인정처분 취소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소송 종결) 원고 병원은 환자들에 대해 케이지(cage) 삽입수술(디스크를 제거한 척추 사이 공간에 인공 링인 케이지를 삽입해 척추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는 방법)을 행한 후, 피고에게 그 요양급여비용의 심사를 청구했다. 그러나 피고는 위 환자들이 요양급여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사유로 케이지 삽입수술비용을 요양급여비용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내용의 요양급여비용불인정처분을 했다. 2심 법원의 판단 박00은 허리 부위의 통증에 대해 수년 동안 나름대로 적극적으로 보존적인 치료를 받았음에도 수술적인 치료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는 통증을 해소할 수 없게 되자 원고로부터 케이지 삽입수술을 받게 되었다고 볼 것이다. 원고가 박0.. 2017.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