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췌장암수술2 췌장암 수술 후 췌장루 진단, 치료 못한 과실 췌장암으로 췌장절제술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췌장미부의 암(Pancreatic tail cancer) 진단 아래 9월 18일 담도췌장외과의사로부터 췌장절제술을 받았다. 이후 소화기내과의사로부터 수술 후 치료를 받았는데 9월 23일 백혈구 수가 12.20(정상범위 3.91~10.33), 헤모글로빈 9.9(정상범위 11.9~15.4), 혈소판 수치 354(정상범위 130~400)였다. 환자는 9월 15일 검사에서는 백혈구 수 14.65, 헤모글로빈 10.5, 혈소판 수 478이었다. 환자는 9월 27일 퇴원했다가 10월 14일 소화기내과로 내원했다. 토혈, 혈변 증상 호소 당시 환자는 항암치료차 혈액종양내과에 외래 방문했다가 전신 무력감 등으로 입원했고, 백혈구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고, 토혈 증상을 보였으며 .. 2022. 7. 1. 수술후 출혈 처지 잘못해 패혈성 쇼크 이번 사례는 췌장암 수술 후 비위관 출혈이 확인되자 재수술을 했지만 환자가 패혈성 쇼크로 사망한 안타까운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시술 전 의료진이 삽입한 담도배액관이 여러 장기를 찔러 출혈이 발생했는지, 의료진이 출혈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처치를 했는지 여부입니다. 인정 사실 환자는 복부 초음파검사 결과 간외 담도 폐쇄 소견이 확인되는 등 췌장암 의심 소견이 나오자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습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여러 검사를 거쳐 원위부 총담도암이며, 병기가 T1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TI은 암세포가 점막하층까지만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림프절 전이는 되지 않았다고 진단했습니다. 의료진은 수술 전 담즙배액을 위해 경피적 담도배액관을 시술했습니다. 그리고 의료진은 3일 뒤 유문부 보존 췌.. 2021. 8.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