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아민2 베르니케 증후군 의료과실 에스상 결장 조루술 후 금식하고, 경정맥 영양공급액 이외에 티아민을 포함한 수용성 비타민을 공급하지 않아 베르니케 증후군 진단을 받은 사건. 또한 오심과 구토 등 베르니케 증후군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었지만 뇌 MRI 검사 등을 하지 않은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원고 일부 승 사건의 요지 원고는 요추 4~5번 척추관협착증 수술을 받은 뒤 복부팽만을 호소해 피고 병원으로 전원되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급성 범복막염으로 진단하고 응급개복술을 시행했다. 수술 소견상 에스상 결장의 천공으로 인해 복벽과 소장으로 둘러싸인 5cm*5cm 농양이 발생했고, 농양 주위에 소장이 심하게 유착되어 소장 폐식이 유발되었다. 또 농양에 인접한 복벽에 괴사가 발생한 상태여서 농양제거 및 소장의 유착박리술, 에스상 결.. 2020. 1. 11. 복막염 수술후 비타민 공급 안해 베르니케 뇌병증 초래 십이지장 궤양 천공으로 인한 복막염 수술후 장기간 금식하면서 티아민 등 비타민을 공급하지 않아 베르니케 뇌병증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십이지장 궤양 천공으로 인한 복막염 진단을 받고 천공부위 봉합 및 위-공장 문합술을 받았다. 원고는 수술후 이틀 동안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등 중환자실 치료를 받다가 위내시경 검사 결과 수술 부위의 부종이 심해 위공장루복원술을 시행했다. 원고는 두차례 수술 내내 금식을 유지하다가 2차 수술후 회복해 위장관 튜브를 제거하면서 물을 마실 수 있게 되었지만 그 뒤 얼마 동안 경구로의 영양공급이 전무한 상태였다. 원고는 구음장애, 연하곤란 등의 증세가 나타났고, 뇌MRI 촬.. 2017. 11.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