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종성혈관내응고2

자궁근종 수술후 갑작스런 심정지 자궁근종 수술후 심정지가 발생해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이번 사건은 자궁근종 수술을 받은 뒤 갑자기 혈압이 떨어지고 무맥성 전기활동 심정지가 발생해 심폐소생술을 통해 회복이 되었지만 이로 인해 파종성 혈관내 응고(DID), 용혈성 빈혈이 발생해 조직이 괴사하면서 발을 절단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약 1.5cm의 점막하 자궁근종 진단을 받고 자궁내시경하 자궁근종 제거수술을 받았는데요. 자궁근종은 자궁 평활균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게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합니다. 의료진은 오전 9시 25분 수술을 시작해 11시 25분 경 수술을 종료하고 원고의 마취를 깨우고 기관내 삽관을 제거하려고 했는데요. 그런데 11시 30분 경 원고의 혈압이 60/30m.. 2021. 1. 13.
양수가 파열돼 질식분만 후 갑자기 양수색전증 호흡곤란으로 사망 양수가 파열돼 질식분만한 뒤 갑자기 호흡곤란으로 산모 사망. 양수색전증과 이에 따른 응급조치가 적절했는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환자는 임신 35주째 왼쪽 옆구리 통증으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는데 초음파검사 결과 요로결석이 발견되었다. 의료진은 결석 크기가 작은 점을 고려해 결석의 자연배출을 기대하는 대기요법으로 진통제를 처방하면서 경과를 관찰했다. 다음날 환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자 의료진은 요관 부목 삽입술을 시행하기로 했지만 수술 전에 양수가 파열돼 분만실로 이동시켰고, 질식분만했다. 그런데 분만으로부터 약 3시간이 경과하자 갑자기 호흡곤란을 호소했고, 의료진은 산소를 공급하고 수액치료, 보조적 검사를 했지만 회복되지 않고 파종성혈관내응고병.. 2017. 9.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