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폐동맥고혈압2 신생아 폐동맥 고혈압 사망…심초음파검사, 계면활성제 투여 쟁점 제왕절개 분만후 신생아가 폐동맥 고혈압으로 사망한 사건. 지속성 폐고혈압 진단 지연, 심초음파검사 미실시, 계면활성제 투여 시점 등이 쟁점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임신 35주 2일째 조기파막으로 피고 병원으로 전원돼 태아가 거꾸로 위치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제왕절개수술을 거쳐 신생아를 출산했다. 신생아는 흉부견축과 빈호흡 증상이 있자 의료진은 신생아중환자실로 옮겼다. 흉부견축 숨을 쉬기가 어려워 숨을 들이쉴 때 복부가 안으로 함몰되는 증상. 의료진은 산소를 투여하면서 관찰하다가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고 흉부견축과 그렁거림이 심해지자 산소 양을 늘리고 계면활성제를 투여한 후 상급병원으로 전원했다. 하지만 신생아는 상급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지속성 .. 2017. 9. 28. 태아곤란증으로 응급제왕절개수술을 했지만 발달지연 태아곤란증으로 응급제왕절개수술을 했지만 발달지연 발생 사건. 태변 흡입, 기도 확보 및 기도 청소 등 추가조치의 적절성 등이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임신 41주에 분만진통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에 내원했는데 당직근무중이던 의사는 내진과 NST 검사 후 불규칙한 진통으로 입원시기가 아니라고 판단, 곧 귀가 조치했다. 당시 태아심박동수는 분당 160~175회로 태아빈맥에 해당했다. 원고는 당일 다시 내원했고, 의료진은 분비물 검사 결과 태변이 섞인 양수가 나온 것을 확인하고, 항생제를 투여했으며, 태아는 한차례 만기태아심박감속 증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후 태아의 빈맥이 지속되다 만기태아심박감속 증상이 다시 나타나자 의료진은 태아곤란증으로 판.. 2017. 9.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