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포폴 뇌손상2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로 담석을 제거하면서 프로포롤을 과량 투여해 저산소성 뇌손상 의료진이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을 통해 담석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프로포폴을 과량 과속 투여하고, 환자 본인에게 시술의 부작용 등을 설명하지 않은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원고는 양측 간내 담관의 확장이 관찰돼 피고 병원 응급실에 입원해 결석으로 인한 담관염 진단을 받아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을 통해 담석을 제거하기로 했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십이지장 유두부'라고 하는 작은 구멍을 통하여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시켜 담관 및 췌관의 병이 있는 부위를 관찰하는 검사법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료진은 원고를 복와위(엎드린 자세)로 눕히고 시술을 종료한 후 .. 2019. 3. 31.
하지정맥류수술 위해 프로포폴 투여한 직후 아나필락시스 뇌손상…응급처치상 과실 수면마취 수면마취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의 시행을 위한 마취방법으로, 본래적 의미의 전신마취와 달리 근이완제의 사용이나 기도내삽관 등을 하지 않고 환자가 자발적인 호흡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정맥마취제(수면제, 진정제, 진통제 등)를 사용하여 환자의 진정, 불안해소, 기억상실과 편안함을 가져오는 마취방법이다. 고도비만인 환자의 다리 하지정맥류수술을 위해 프로포폴을 투여해 수면마취한 직후 아나필락시스로 저산소성 뇌손상…응급처치상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외과의원을 운영하는 의사인 피고는 원고의 우측 다리 하지정맥류 수술을 위해 척추마취를 시행하려다 원고가 고도비만(BMI 33.2)으로 인해 마취에 필요한 만큼 허리를 굽힐 수 없음을 알게 되자 프로포폴을 이용한 정맥마취(수면마.. 2018.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