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혈복강6

복통, 저혈압과 역류성 식도염, 복강 내 출혈 복강 내 출혈(혈복강)은 위, 장, 간, 쓸개, 콩팥, 비장, 췌장 등의 장기가 들어있는 복강에 다양한 원인으로 혈액이 고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 외상으로 복부 내 혈관이나 장기가 손상되거나 질병 등으로 인해 복강 내 혈액이 고일 수 있다. 복강 내 출혈 증상은 어지러움, 복통, 복부 팽만, 쇼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복부 CT 검사 및 복부 초음파를 통해 대부분의 출혈을 확인할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 직후 비장 파열 진단 K는 8일 오후 4시 자택 주차장에서 화를 낸 뒤 갑자기 실신해 119 구조대에 의해 오후 5시 17분 F 병원 응급실로 후송되었다. K는 응급실에 후송될 당시 의식을 회복한 상태였다. 응급의학과 의료진은 신체검진 및 문진 결과 환자가 별다른 외상없이 3분간 실신했.. 2024. 7. 7.
자궁 내막 유착 증상, 수술 부작용, 의사 과실 판단 자궁 내막 유착 증상 자궁 내막 유착은 생리를 하지 않게 되어 건강상 문제가 될 수 있다. 또 임신을 하더라도 습관성 유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평상시보다 생리 양이 줄었거나 오랫동안 생리를 하지 않았다면 자궁 내막 유착 증상을 의심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자궁 내막 유착이 발생하는 원인은 과거 유산을 했거나 소파술, 중절술을 시행한 경우, 제왕절개 수술 후 자궁 내 유착이 있을 때 등이다. 자궁 내막 유착에 대해 자궁경 하 유착박리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장기를 손상해 혈복강이나 자궁 파열과 같은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부작용이 심각해 자궁 적출 수술을 해 소송으로 번진 사례도 있었다. 수술 집도의 주의의무 이처럼 자궁 내막 유착 수술로 인한 .. 2023. 10. 25.
장폐색 수술 후 출혈, 복막염으로 장유착 후유증 수술 후 출혈 외과 수술 후 출혈 여부는 배액관의 양상 변화와 혈중 헤모글로빈 수치, 임상 양상을 총괄해 추정해야 한다. 출혈이 많지 않으면 수혈과 지혈제 등을 사용하면서 경과관찰 하지만 이런 보존적인 치료에도 지혈이 되지 않으면 지혈을 위한 수술을 하기도 한다. 수술 후 의사의 경과관찰 주의의무 수술을 집도한 의사는 수술 후 환자의 배액관에서 출혈 양상이 나타나거나 헤모글로빈 수치가 감소하는 등 수술 부위 출혈이 의심되면 관련 검사를 시행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재수술을 하는 등 경과관찰 및 신속하게 대처할 주의의무가 있다. 아래 예시는 장폐색 수술 후 출혈 양상이 있어 재수술을 했지만 복강내 혈종 및 복막염 소견이 확인되자 다른 병원으로 전원해 재수술 한 후 장유착 후유증이 발생한 사안이다. 장폐색 .. 2023. 3. 15.
기관삽관 튜브를 기도가 아닌 식도로 잘못 삽입한 사건 폐부종은 질환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폐의 조직과 폐포로 체액이 빠져나가 고이면서 가스교환을 악화시켜 심한 호흡곤란을 야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번 사건은 자궁외임신중 난관파열로 인한 혈복강에 대해 난관절제술 및 복강내 혈종제거술을 한 뒤 폐부종으로 기관삽관했지만 튜브를 기도가 아닌 식도로 잘못 삽입한 사례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하복부 통증을 호소해 임신반응검사를 한 결과 자궁외 임신이 의심되자 피고 병원으로 전원됐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초음파검사 등을 한 결과 우측 난관임신이 의심돼 보존적 약물치료를 계획했는데 난관 파열로 인한 혈복강이 의심돼 복강경하 우측 난관절제술 및 복강내 혈종제거술을 시행했다. 의료진은 수술후 흉부 방사선검사에서 폐부종 .. 2019. 1. 6.
음주 교통사고환자 전원과정 의료진 동승 안시킨 과실 음주 교통사고환자가 저혈압, 빈맥 상태여서 저혈량성 쇼크 가능성이 높았지만 뒤늦게 복강내 출혈검사를 하고, 전원상 의료진을 동승시키지 않고 응급구조사를 직접 운전하게 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음주운전을 하다가 굴삭기 뒷범퍼를 들이받는 사고를 내고 피고 병원에 후송됐다. 환자는 별다른 외상이 없었고, 당직 의사의 촉진시 별다른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의료진이 활력징후를 측정한 결과 혈압 80/50mmHg(정상 혈압 120/80mmHg), 맥박 113회/min(정상 맥박 60~80회/min)이었고, 환자는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에 불응하면서 상당 시간 동안 실랑이를 했다. 그런데 환자는 약 2시간 후부터 복통을 호소하기 시작했다. 이에 의료진은.. 2017.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