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전색전증4 혈전색전증에 의한 경막외출혈 혈종 진단 및 치료 지연 사건의 쟁점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로 인해 혈관이 막히면 혈전색전증이 발생하는데 동맥혈전증의 경우 매우 급한 치료를 요하는 응급상황이 많다. 이번 사건은 폐혈전색전증이 발생해 병원에 입원해 항응고제 투여 치료를 받던 중 경추(목뼈) 경막외 출혈이 발생해 응급수술을 시행했지만 사지마비 상태가 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에게 통증과 사지마비 증상이 발생한 뒤 피고 병원이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지연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사지마비 증상, 손과 다리 저림 증상 호소 원고는 4월 1일 유방절제술 및 근치유방보존술을 받았고, 6월 14일 호흡곤란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폐혈전색전증 진단을 받고 항응고제 헤파린을 투여하는 치료를 받았다. 원고는 6월 17일 오전 6시 경 양측 어깨와 팔 부.. 2022. 7. 15. 혈전, 혈전색전증 치료 의료분쟁 좌심방 혈전, 다리 혈전색전증 치료과정에서 환자 사망 이번 사건은 협심증을 가진 환자가 좌심방 혈전, 양쪽다리 혈전색전증으로 두 병원에서 진단 및 수술을 한 뒤 사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의 증상을 척추 문제로 진단한 점, 좌심방 점액종 및 양쪽다리 동맥경화증으로 수술한 점 등이 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심부전, 협심증 등으로 여러 의료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약물치료를 받아왔는데요. 1. 피고 M병원에서의 진료 경위 환자는 오른쪽 발등 감각이상, 요통, 오른쪽 발목 통증 등으로 피고 병원 신경외과에 내원했습니다. 그러자 신경외과 의료진은 MRI 검사를 거쳐 요추(허리뼈) 염좌 소견에 대해 설명했고, 당시 환자는 의료진에게 오른쪽 발등 감각이상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말했습니다.. 2021. 1. 5. 월경통에 타이레놀 대신 피임약 야스민 처방후 폐혈전색전증 사망 산부인과 의사가 월경통에 타이레놀 대신 야스민 처방하자 폐혈전색전증으로 사망. 이에 대해 검사는 업무상과실치사로 기소했지만 법원은 무죄 판결. 사건: 업무상 과실치사 판결: 1심 피고인 무죄 공소 사실 요지 병원 산부인과 의사인 원고는 2012년 2월 월경통을 호소하는 피해자가 기존에 복용하던 타이레놀이 효과가 없다며 불편함을 호소하자 '야스민'을 투약 처방했다. 그러나 야스민은 드로스피레논 함유 피임약으로 혈전색전증의 부작용 위험이 높고 폐혈전색전증 발생시 환자가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약제다. 더욱 과거 편두통과 난소제거술, 자궁내막 근종 진단을 받은 병력이 있는 피해자에게 야스민을 투약할 경우 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성이 높다. 그럼에도 피고인은 이를 게을리한 채 피해자에게 야스민의 부작용에 대한 .. 2017. 5. 3. 월경통에 피임약 야스민 처방 의료분쟁 월경통에 타이레놀 대신 피임약 야스민 처방…혈전색전증 부작용 고지 안해 게 과실일까?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소, 2심 원고 항소 기각 사건 개요 환자는 생리기간이 아닐 때 하복부에 통증을 느끼고, 생리 기간에 복부 통증이 있는데 진통제 타이레놀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어 피고 병원에 내원해 1일 1회 3개월분의 야스민(경구피임약)을 처방받았다. 환자는 야스민을 복용하던 중 다리가 붓고 저린 증상 등이 있다가 동거인에 의해 자택 화장실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환자에 대해 부검을 실시한 결과 폐혈전색전증이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환자는 과거 뇌파검사를 받은 결과 경증의 대뇌 기능 저하와 간질파가 확인되어 뇌전증으로 진단되었고, 자궁근종이 발견되어 난소.. 2017. 4. 28. 이전 1 다음 반응형